메뉴

[한중 속담 비교] 사람은 지내 봐야 안다 路遥知马力,日久见人心

'路遥知马力,日久见人心', 이 속담은 길이 충분히 멀어야 말의 체력이 얼마나 되는지 알 수 있듯, 
路遥知马力,日久见人心,意思是指路途要足够遥远,才能够知道马的体力如何,
시간이 충분히 지나야 사람의 마음을 알 수 있음을 가리킨다. 

 

时间要足够长,才能识别人心。
우리는 자주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라고 말한다.

 

我们总是说知人知面不知心,
왜냐면 우리는 한 사람의 외모만으로 마음을 구별할 수 없기 때문이다. 

 

因为从一个人的外表,我们无法判断出善恶。
그렇기에 사람들은 자주 농담으로 "나쁜 사람은 자신이 나쁘다고 얼굴에 써놓지 않는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也常有人会以开玩笑的方式说“坏人不会把自己是坏人写在脸上”。
그래서 한 사람의 마음을 보기 위해서는 긴 시간을 지내보는 게 보통 가장 좋은 방법이다. 

 

所以如何判断一个人的善恶,长时间的相处似乎是最好的办法。
하지만 오늘날 우리는 외모를 더욱더 중요시하고 있다. '첫인상'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但是如今的我们,对于外表越来越看重,“第一印象”在我们日常生活中不可否认的占据了非常重要的位置。
우리는 취업 면접을 볼 때도, 좋은 첫인상은 면접에 좋은 영향을 준다. 

 

比如我们就职面试的时候,好的第一印象的确可以给我们的面试成绩加分。
많은 사람들은 심지어 친구를 사귈 때에도 '첫인상'을 첫째로 생각한다. 

 

但是许多人甚至在交朋友的时候,也把“第一印象”放在第一位。
물론 '첫인상'은 중요하지만, 외모만으로는 사람의 전부를 알 수 없다는 점을 우리는 항상 기억해야 한다. 

 

固然“第一印象”很重要,但是仅凭外表无法断定一个人的全部是我们始终需要铭记的

 

知人知面不知心

zhīrénzhīmiànbùzhīxīn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

相处

xiāngchǔ

함께 지내다

占据

zhànjù

점거하다. 점유하다

固然

gùrán

물론 …하지만

 

 

 

 

출처 : 픽사베이

한국에도 비슷한 속담이 있다. "사람은 지내 봐야 안다", 이 속담은 사람은 함께 지내봐야만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는 뜻이다. 


韩国也有相似的俗语——“사람은 지내 봐야 안다”,这句话的意思是指,人要试着相处看看才能够了解。
하지만 현재의 한국 사회도 '첫인상'을 점점 중요시 여기는 것 같다. 

 

但是现在的韩国社会似乎更加看重“第一印象”,
심지어 어떨 때는 지나치게 자신의 외모만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다. 

 

有时甚至导致了大家对于自己外表有一种过分追求,过分重视的趋向。
이는 한국의 성형 산업의 발달로 이어졌다. 

 

这也变相促进了韩国整形产业的发达。
성형 산업뿐만 아니라, 미용 산업도 빠르게 발달하여 한국 사진관의 포토샵 기술은 이미 유명할 정도다. 

 

不仅是整形产业,美妆美发产业也很发达,甚至连韩国照相馆的修图技术也名扬海外。
많은 유커(游客)들이 한국에 성형이나 미용을 목적으로 올 뿐 아니라, 한국에서 면허증의 사진을 찍으러도 많이 오고 있다.

 

许多游客除了会来韩国整容,做头发之外,也会将来韩国照证件照列进自己的旅游清单中。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은 사람의 본능으로, 비난의 대상은 아니다. 

 

人对美的追求当然是一种本能,这是无可厚非的,
하지만 우리는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동시에 외모가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을 항상 기억할 필요가 있다.  

 

但是我们在追求美的同时始终要铭记,外表并不是一切。
외모에 현혹돼서는 안된다. 사람은 항상 같이 지내야만 정확하게 볼 수 있다.
我们不可被外表迷惑,人始终是需要通过相处才能看清的

 

趋向

qūxiàng

추세. 경향

变相

biànxiàng

형식만 변하고 내용은 변하지 않다

名扬海外

míngyánghǎiwài

해외에 이름을 떨치다

清单

qīngdān

명세서, 목록

无可厚非

wúkěhòufēi

크게 비난할 바가 못 된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