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의료미용 산업 진출, '청두'를 핵심 전진기지로 삼아야

중국 의료미용 시장에 진출하려는 국내 기업들이 내륙의 청두(成都)를 핵심 전진기지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청두 지부가 8일 발표한 '중국 의료미용 산업 동향 및 우리 기업 진출방안'에 따르면 2018년 중국의 의료미용 시장은 전년 대비 28% 증가한 2245억 위안 규모를 기록했다.

 

이는 미국, 브라질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이다. 최근 중국은 성형시술 경험자가 1020만 명에 달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최근 중국의 의료미용 산업은 O2O 플랫폼 활성화, 인터넷 금융상품 접목, 투명한 시장환경 조성 등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쓰촨성 청두시는 상하이, 베이징에 이어 중국의 세 번째 의료미용 대표도시다. 100여 개 의약 연구·개발(R&D)기구, 20여개 의학 대학원이 소재하고 잠재 소비자는 380만 명 이상일 것이라 예측됐다.

 

작년 6월에는 '의료미용의 도시'로 지정돼 인재 양성, R&D, 기업 육성, 감독 강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보고서는 빠르게 발전하는 중국 의료미용 산업을 기회 삼아 우리 기업들이 ▲의료미용 플랫폼 마케팅 ▲합법적인 최신 시술 개발 ▲남성·청년·중서부 등 잠재력 큰 시장 공략 ▲청두시 산업 장려정책 활용 등에 힘을 기울일 것을 주장했다.

 

무역협회 청두지부 김희영 차장은 "중국은 기술에 대한 신뢰 부족 및 부작용 우려, 한류 등으로 여전히 한국의 의료미용 서비스에 기꺼이 지갑을 여는 소비자가 많다"라며 "청두를 발판으로 우리 기업들의 활발한 중국 진출을 기대한다"고 전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