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창사서 하반기에 '기사 없는' 택시 다닌다

중국에서 하반기에 '기사 없는' 택시가 처음으로 시범 운영될 계획이다.

 

1일 중국 정부와 바이두에 따르면 올 하반기 중국 후난성 창사시에서 자율주행 무인(無人) 택시 시범 운영이 본격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이 시범운영 계획은 지난 달 열린 중국 최대 정치행사 양회에서 바이두의 리옌훙 회장이 직접 발표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리 회장은 "오는 하반기 창사에서 상용화 시운영을 할 것"이라며 "창사 시민들이 무인 택시를 이용이 가능하다"고 발표했다.

 

앞서 지난해 10월 바이두가 창사시 정부와 함께 '자율주행 도로 구축'을 위한 전략적 협약을 맺으면서 관련 인프라 구축에 힘써왔다. 바이두는 창사에서 100만 대의 자율주행 택시를 운영하는 것을 목표라고 밝혔다.

 

택시와 버스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전반에서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하는 대단위 프로젝트의 첫 단계다.

 

시운영은 단계적으로 이뤄지며 지난해 말부터 우선 7.8km 길이의 스마트 시범 도로 노선을 운영, 올해 100km 길이의 개방형 도로 테스트가 이뤄질 예정이다. 올해 택시뿐 아니라 물류 차량과 환경위생 차량 등도 시운영에 돌입한다. 내년 이후에는 5G에 기반한 자율주행 생태계가 조성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바이두는 올 연초 CES에서 인공지능(AI) 자율주행 플랫폼 아폴로(Apollo)의 차로협동솔루션 아폴로3.5를 발표한 바 있다. 이는 차와 차 그리고 차와 도로간 통신을 통해 자율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바이두는 2016년 이후 차량과 도로 협동 기술 개발을 시작해 단계적 성과를 이뤄왔다. 최근 여러 파트너와 함께 생태계 프레임을 만들어 협력 중에 있다. 이 기술이 창사에서 처음 상용화 수순을 밟는 것. 창사가 대표적인 자율주행 도시로서 아폴로의 세계 보급을 위한 거점이 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지방정부인 중국 후난성의 지원도 뒷받침하고 있다.

 

인공지능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는 후난성은 자동차, 베이더우(Beidou) 위성 네비게이션, 통신, 기계 등 다양한 인프라적 자원에서 강점을 갖춘 곳이다.

 

후난성은 3월 '후난성 인공지능 산업 발전 3년 행동 계획(2019~2021)'을 발표하고 2021년까지 성의 인공지능 핵심 산업 규모를 100억 위안까지 키우고 관련 산업 규모는 1000억 위안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