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用古木叙述韩国现代史 民众美术家孙壮燮画伯


       5月17日至6月18日,首尔三清路学古斋画廊将举办民众美术家孙壮燮(76岁)的《SON Jang Sup: Painting as Tangible Vestige of History》画展。在此次画展上,将展出创作于1960年,描述4·19革命的历史画《四月的呐喊》,以及描绘神圣古木的自然风景画等38幅作品。
       孙壮燮画伯于1941年出生在全罗南道莞岛,他亲身经历了韩国混乱且黑暗的现代史。关于他如何成为民众美术家的问题,答案还要追溯至1960年4月19日也就是他读高三的时候。他在回忆时说道:“那天如往常一样前往首尔站到野外进行人物素描,在去往候车厅的途中,被卷入从德寿宫方向涌来的示威人群里。人们挤在一起,我把当时的情形用速写记录了下来,不知道现在还有没有像当时那样在外速写的学生呢。”此后他考入弘益大学西洋画专业,但由于家境贫寒,为了赚取学费和生活费,他辗转于多份工作中,也曾反复休学复学。1963年入伍后,他于1965年自愿加入越南战争,归国后决心成为一名同民众站在一起的艺术家。上世纪八十年代,他创立了日后孕育民众美术的艺术家团体——现实与发言,并担任民族美术家协会首任会长,成为了韩国的代表性民众艺术家。
       孙壮燮画家还是名“现场画家”。他走遍全国山河,将银杏树和松树古木留在了画纸上。从“原州银杏树”、“缘雨堂银杏树”、“龙门寺银杏树”到“正二品松”和“济州黑松”,这些守护了韩国数千年的古木是一种“沉默的证言”。学古斋画廊新馆展厅将一并展出上述古木作品,画作展现出了不寻常的“神木”气韵。为此次展览撰写评论文的美术家兪弘濬这样说道,“没有展现外在美,而是展现蕴含在内心深处的灵魂”。此次展览将大规模展出画家上世纪80~90年代的作品以及近期画作。画伯笑着说:“画作卖出去,它离开我的手时,那种感觉并不好。什么也没有做,到现在也是糊口过日子,真是奇妙的一生啊。”

 

 

 

 

笔者 权奎鸿 出处 news1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