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신에너지차 1월 생산량 및 판매량 전년 대비 고속 성장

 중국자동차산업협회(CAAM)에 따르면 2019년 1월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은 9만700대와 9만5700대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13%, 138% 증가해 고속 성장 추세를 이어갔다.

 

 중국자동차산업협회가 발표한 데이터에서 올해 1월 중국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은 236만5천대와 236만7천대로 전월 대비 4.7%와 11.1% 감소했고, 전년 동기 대비 121%와 15.8% 감소했다. 이 중 승용차 생산량은 199만51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14.39% 감소했고, 판매량은 202만11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17.71% 감소했다. 상용차 생산량은 37만100대로 3.18% 증가했고, 판매량은 34만6200대로 2.18% 감소했다.

 

 1월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은 9만700대와 9만5700대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1배, 1.4배 증가했다. 이 중 순수 전기차 생산량 및 판매량은 6만7천대와 7만4900대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4배, 1.8배 증가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생산량 및 판매량은 2만3700대와 2만800대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59.92%와 54.55% 증가했다.

 

 중국 브랜드 자동차의 1월 판매량 순위 10위 기업은 상하이자동차(SAIC), 지리자동차(GEELY), 창안자동차(CHANGAN), 둥펑자동차(DFAC), 창청자동차, 베이징자동차(BAIC), 이치자동차 (FAW), 광저우자동차(GAC), 장화이자동차(JAC), 치루이자동차(CHERY) 순이다. 이들 자동차 메이커 10개사는 1월 중국 브랜드 자동차 판매량의 83.17%를 차지하는 총 116만7700대의 자동차를 판매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