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위 못해도 실망 안 하기로 했어요."

사진 출처:JYP 엔터테인먼트

 

어느덧 데뷔 3주년을 맞은 걸그룹 트와이스는 더 이상 순위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데뷔곡 우아하게(OOH-AHH하게)’를 시작으로 치어 업(CHEER UP)’, ‘티티(TT)’, ‘낙낙(KNOCK KNOCK)’, ‘시그널(SIGNAL)’, ‘라이키(LIKEY)’, ‘하트 셰이커(Heart Shaker)’, ‘왓 이즈 러브?(What is Love?)’, ‘댄스 더 나이트 어웨이(Dance the night away)’ 9곡을 연속으로 히트시킨 트와이스이기에 ‘10연속 히트라는 대기록이 욕심날 만도 한데, 트와이스는 성숙한 자세로 순위에 집착하기보다는 좋은 음악을 들려주는데 집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신곡이 나올 때마다 많은 분들이 사랑해주셔서 더 열심히 준비하려고 했어요. 신곡 ‘YES or YES’1위를 차지하고 더 많은 분들이 사랑해주시면 감사하겠지만 11월에 같이 컴백하시는 선배 가수 분들도 많고, 좋은 노래들이 나오기 때문에 혹시 1등을 차지하지 않아도 실망 안하기로 마음먹었어요."

 이달 초 발표된 새 앨범 ‘YES or YES’과 동명 타이틀곡 ‘YES or YES’은 트와이스의 당당하고 사랑스러운 고백에 대한 답은 오직 예스(YES)’라는 내용을 담은 곡이다. 트와이스의 히트곡 낙낙(Knock Knock)’을 만든 심은지가 가사를 쓰고, ‘하트 셰이커(Heart Shaker)’ 작곡가인 데이비드 앰버(David Amber)와 앤디 러브(Andy Love)가 곡을 맡았다. 트와이스와 남다른 궁합을 자랑하는 이들이 탄생시킨 ‘YES or YES’는 발표 직후 7개 음원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트와이스의 노래에는 늘 비슷한 느낌의 밝은 에너지 있었어요. 그래서 이번에는 무대를 꾸미는 데 더 욕심이 많았죠. 안무도 더 어렵게, 보는 사람들이 멋있다고 반응하길 바랐어요. 더 부담이 되니까 더 멋진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는 욕심도 생겼죠. 이번에도 많은 분들에게 사랑 받으면 좋겠어요."

 트와이스는 요즘 대한민국에서 가장 바쁜 걸그룹이다. 몇몇 멤버들이 따로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적은 있어도 각 멤버들이 솔로 앨범을 내거나 개별 활동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들의 솔로 활동을 기대하는 팬들 입장에서는 아쉽겠지만 트와이스는 새 앨범을 낼 때마다 진화하고 있다. 앨범 프로듀싱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트와이스 만의 색을 입히기 위해 불철주야 노력하고 있다.

 "앨범을 낼 때마다 회사에서 저희 의견을 먼저 물어봐주시죠. 저희가 부르는 음악이고 저희가 보여드리는 음악이기때문에 하고 싶은 스타일을 듣고 회사 식구들이 많이 조율해주시는 편이에요. 앞으로는 새 앨범을 준비할 때 작곡이나 작사도 배워보고 싶어요. 하지만 지금은 솔로 활동보다는 트와이스 모든 멤버들이 함께 만들어 나가는 게 더 의미있고 좋은 것 같아요."

 트와이스가 새 앨범을 들고 대중과 언론 앞에 설 때마다 빠지지 않고 나오는 질문이 있다. 바로 소속사 JYP엔터테인먼트의 수장인 박진영 프로듀서의 근황이다. 트와이스에 대한 애정이 남다르기로 유명하기 때문에, 새 앨범 출시를 앞두고 박진영이 어떤 조언을 들려줬는지가 항상 대중의 관심사가 되곤 한다.

 "박진영 PD님은 팬들 사이에서 트버지’(‘트와이스의 아버지의 줄임말)라고 불리는 걸로 알고 있어요. 정말 트와이스에게는 아버지와 같은 존재죠. 이번 ‘YES or YES’에 포인트 안무가 있는데 포인트 안무를 예쁘게 잘 해줬으면 좋겠다고 응원해주셨어요."

 2015년 데뷔 후 쉼표 없는 활동을 이어오고 있는 트와이스. 3년 동안 10곡을 히트시킨 것을 고려하면 매년 3곡 이상을 선보였다는 의미다. 그들의 노력은 달콤한 열매로 돌아왔다. ‘YES or YES’는 공개 후 일본, 홍콩, 대만, 싱가포르 등 해외 17개 지역 아이튠즈 앨범 차트 정상에 오르는 것을 비롯해 미국 빌보드는 트와이스의 컴백 소식과 함께 유튜브 신기록을 집중 조명했다. 트와이스는 데뷔곡 ‘OOH-AHH하게부터 ‘Dance The Night Away’에 이르기까지 모든 곡의 뮤직비디오가 조회수 1억뷰 반열에 올렸다. ‘YES or YES’ 뮤직비디오 역시 12일 오후 3시 기준 유튜브 조회수 5781만 건을 돌파하며 ‘10연속 1억뷰 돌파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이제는 글로벌 걸그룹이라는 수식어가 어색하지 않은 셈이다.

 "데뷔한 지 3년이 넘었다는 게 잘 실감이 안나요. 정말 많은 일들이 스쳐 지나갔죠. 하지만 앞으로 30년 더 길게 길게 멤버들과 함께 가족처럼 가수 생활을 하고 싶어요.“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