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노트르담 드 파리


ⓒ노트르담 드 파리 공연포스터 

 

노트르담 드 파리

2018.06.08()~2018.08.05()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빅토르 위고의 동명 고전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뮤지컬'노트르담 드 파리'는 매혹적인 집시 여인 에스메랄다를 사랑하는 꼽추 콰지모도, 근위대장 페뷔스, 성직자 프롤로 등 세 남자를 통해 다양한 인간 군상과 삶의 의미에 대한 고찰을 담은 프랑스 대표 뮤지컬.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 1998년 프랑스 초연 이후 전세계 20개국에서 총 4,300회 이상 공연, 1,200만 누적 관객을 돌파하며 흥행 돌풍을 기록했다. 한국에서도 이미 20개 도시에서 800회 이상 성황리에 공연된 바 있다. 특히, 지난해 한국어 라이선스 공연은 누적 관객 수 100만명을 돌파하는 대기록을 달성했다. 세기의 명작 소설을 원작으로 한 만큼 탄탄한 스토리를 바탕으로 아름다운 선율과 시적인 노랫말, 역동적이고 창의적인 안무가 완벽한 조화를 이룬다. 섬세한 가사와 '대중성을 지향하는 오페라"에 기반해 작곡한 웅장한 51개의 넘버는 작품의 가장 큰 매력. 현대무용, 아크로바틱, 브레이크 댄스를 접목한 안무또한 보는 재미를 더한다.

올해 한국어 버전 10주년을 맞아 세종문화회관 무대로 다시 돌아온 노트르담 드 파리는 그 어느 때 보다 화려하고 의미 있는 라인업을 돋보인다. 2008년 초연 이래 흥행을 견인한 케이윌, 윤형렬, 마이클 리, 등을 필두로 차지연, 이충주 등 새롭게 합류한 캐스트들과의 환상적 시너지가 기대된다.


필자 강지현

ⓒ노트르담 드 파리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