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다이어트로 더욱 예뻐진 여자 연예인 - 박신혜, 유이, 박보람

노출의 계절 여름, 옷차림이 짧고 얇아지며 드러나는 보디라인은 여성의 다이어트 의지를 자극한다.  '다이어트는 최고의 성형이라는 말을 증명하듯 살도 빠지고 갸름해진 얼굴로 더 예뻐진 연예인들이 대중의 눈길을 끌고 있다.

 

최근 종영한 tvN 예능프로그램<숲 속의 작은 집>에 출연한 배우 박신혜의 다이어트 비결이 재조명되고 있다. 20대 초반 통통한 체격 탓에 168cm의 큰 키는 주목을 받지 못했고, 굵은 다리, 팔뚝, 통자 몸매로 대변되는 지금과 사뭇 다른 체형을 지녔던 그녀는 독한 다이어트를 통해 현재의 S라인 몸매를 갖게 되었다는 후문. 하루 두끼 식사에 오후 6시 이후 음식물 섭취를 완전히 끊고, 부종에 효능이 있는 팥물과 호박물을 수시로 마시며, 부족한 허기는 수분이 풍부한 배추와 오이로만 해결했다고 한다. 또한 현대무용과 싸이클링까지 병행하며 완성된다이어트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현재 박신혜는 tvN 새 드라마<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에 다시 캐스팅되며 활발한 방송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2009년 걸그룹 애프터스쿨로 데뷔한 가수 유이. 걸그룹 시절 건강미 넘쳤던 몸매로 한국의 비욘세로 불리며 인기를 얻었지만 MBC<선덕여왕>,<황금무지개>,<결혼계약>,<불야성>, KBS 2TV<오작교 형제들>,<전우치>, SBS<상류사회>등 연기자로서 여러 작품에 출연하며 바쁜 일정 속에 틀어지고 불어난 몸매에 다이어트를 결심했다고. 유이는 특제 우엉차를 상복하며 걷기와 등산 등 유산소 운동의 강도를 최대한 높이는 방법으로 효과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 유이는 최근 '2018 S/S 헤라서울패션위크-육스' 컬렉션에서 몰라보게 마른 체형으로 등장, 일부 팬의 우려를 사기까지 했다.

 

 

 

가수 박보람은 꾸준한 다이어트로 몸무게를 72kg에서 45kg까지 감량하며 다이어트에 대성공한 대표적 연예인 중 한 명. 2010 Mnet<슈퍼스타K2>를 통해 데뷔한 박보람은 슈스케 시절 앳되고 귀여운 외모에 가창력으로 주목을 받던 가수. 박보람은 본격적인 가수 데뷔 전 다이어트를 위해 단백질 섭취에 초점을 맞춘 아침, 점심 식단과 오후3-6-9시 등 시간대별로 특별한 식이 관리를 지켜냈다. 박보람은 "예전엔 마른 게 너무 좋았는데, 이제는 건강한 몸, 건강해 보이는 몸을 갖고 싶어서 필라테스까지 도전했다"고 밝혔다. 놀랍게 변모한 몸매를 이룬 그녀는 최근 tvN 드라마<어바웃타임>의 두 번째 OST에도 참여, 청아한 음색과 안정적인 보컬의 가수로서도 대중의 인정을 받고 있다.

 

 

자신 만의 건강한 다이어트 실천을 통해 날씬한 몸매와 V라인까지 일궈낸 박신혜, 유이, 박보람. 올여름 그녀들처럼 다이어트에 성공해 당당히 휴양지를 거니는 모습을 그리며, 그 실행의 첫 발을 내딛어 보는 것은 어떨까

 

필자/강지현   사진출처/news1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