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중속담 비교]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다. 城门失火,殃及池鱼

 

“城门失火,殃及池鱼”比喻无辜被连累而遭受灾祸。
'성문 불에 연못의 물고기가 재앙을 입다.(城门失火,殃及池鱼)'는 무고한 사람이 연루되어 재앙을 입는 것을 비유합니다.

这句俗语来源自古代的一个故事。
이 속담은 옛날의 한 이야기로부터 나왔습니다.

从前,有个城门下面有一池塘,一群鱼儿在里边快乐地游着。
옛날, 어느 한 성문 밑에 연못이 있었는데, 한 무리의 물고기 때가 그 연못에서 즐겁게 살고 있었습니다.

突然,城门着了火,一条鱼儿看见了大叫说:“不好了,城门失火了,快跑吧!”
갑자기, 성문에 불이 붙었고 한 물고기 이를 보며 "큰일났어, 성문에 불이 났으니 어서 도망가자!"라 말했습니다.

但是其他鱼儿都不以为然,认为城门失火,离池塘很远,用不着大惊小怪。
하지만 다른 물고기들은 대수롭지 않게 여기며, 성문에 불이 났지만 연못에서 멀기에 놀랄 것 없다고 여겼습니다.

这时,人们拿着装水的东西来池塘取水救火。
이 때, 사람들은 물 긷는 도구를 들고 연못에 가 물을 길어 불을 껐습니다.

过一会,火被扑灭了,而池塘的水也被取干了,满池的鱼都遭了殃。
잠시 후, 불이 모두 사그러들었지만 연못은 말라버리고, 연못에 가득했던 물고기들은 화를 입었습니다.

 

无辜
wúgū
무고하다. 죄가 없다.
连累
liánlěi
연루시키다. 끌어들이다. 말려들다.
大惊小怪
dàjīngxiǎoguài
별것 아닌 일에 크게 놀라다.
池塘
chítáng
(비교적 작고 얕은) 못.
 

 

 

 

 

 

 

 

韩国表达相似意思的俗语则是“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다.”,直译是“鲸鱼相斗,鱼虾遭殃”。
한국에서 이와 비슷한 의미를 지닌 속담으로는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다."가 있습니다. 

这两个俗语都比喻本来两个毫不相干的事情,因为某一事件而联系在了一起,
이 두 속담 모두 전혀 관련 없는 일이 다른 일과 이어지면서

而其中一方因此受到了无辜的牵连。
그 중 한 측이 그로 인하여 무고하게 연루되는 것을 비유합니다.

人们在无意中的一个行动,可能会殃及到他人;而自己也可能不小心遇到别人的麻烦,
사람들이 무의식적인 행동에 다른 사람은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자기 역시 다른 사람으로 인해 골치를 썩을 수 있습니다.

所以人们最好还是小心行事,以此避免发生这种纷争。
그러므로 조심하며 행동해야 하며, 조심하면서 갈등을 피할 수 있어야 합니다.

 

 

鲸鱼
jīngyú
고래.
相干
xiānggān
상관이〔관계가〕 있다. 서로 관련되다.
[주로 부정형이나 반문으로 쓰임]
牵连
qiānlián
연루되다. 말려들다.
纷争
fēnzhēng
분규. 분쟁.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