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리샤오린 중국전력유한공사 회장 은퇴

미국 국방부, 환태평양 해상 훈련에 중국 초청 취소

미국 국방부가 6월 개최 예정인 환태평양 국제 해상 훈련에 중국 초청을 취소키로 했습니다.
최근 중국의 남중국해에서 군사 역량 강화에 대한 조치라고 합니다.
이게 첫 시작이라고 합니다. 

미군은 태평양 함대의 이름도 중국 때문에 바꿀 것을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

'인도 태평양 함대'
새 이름이라고 합니다. 

미국만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경계하는 게 아닙니다. 유럽도 나섰네요.

유럽 의회가 중국 경계 차원에서 외국의 투자에 대해 더욱 엄격히 심사할 것이라고 미국의 소리가 전합니다. 

주중 미국 대사관 직원 음파 공격 후 경미한 뇌손상

주중 광저우 미 총영사관 직원이 괴상한 소리를 들은 뒤 치료를 받아 보니 
경미하지만 뇌손상을 입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과거 쿠바에서 발생했던 것과 유사해 연관성에 대해 조사 중이라고 합니다. 

환추스바오가 '음파 공격설'에 발끈하고 나섰습니다.

"조사에 객관성이 떨어진다. 무슨 배경이 있겠느냐?"
환추스바오의 주장입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24일 이틀간 일정으로 방중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24일 이틀간의 일정으로 중국을 찾았습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이란, 북핵 문제, 무역과 시장 개방, 류샤오보 부인인 류샤 등의 인권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꼽았습니다. 그런데 의외로 전체 중화권 언론에서는 주요한 뉴스로 다루지 않았네요. 

중국 계획 출산 정책 폐기할까?

중국 당국이 계획 출산 정책을 폐기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오늘은 영국 BBC 중문망이 분석을 했습니다.
최근 덩위원이라고 우리에게도 익숙한 논객이 "계획 출산 정책은 실패한 정책"이라고 맹공을 했다가 그 글이 당국에 의해 삭제됐다고 합니다. 

호적이 없는 재벌이라도 베이징에서 학교 못 보낸다.

중국의 뿌리 깊은 호적 정책이 다시 외신의 도마에 올랐습니다.
최근 베이징에서 외지 호적의 저소득층을 시 외곽으로 내쫓으려는 계획 때문에 다시 주목을 받는 듯합니다.
자유아시아 방송의 기획인데, 사례가 참 눈길을 끕니다.
한 IT 기업 오너인데, 수천만 인민폐의 세금을 내는 데도 호적이 없어 아들을 베이징 학교에 보내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부정부패 의혹 받던 리샤오린, 기업 은퇴.

중국 전력 산업의 거두였죠. 리펑 전 총리의 딸 리샤오린 중국전력국제유한공사 회장이 은퇴했습니다.
시진핑 집권이래 각종 비리 의혹이 불거지기도 했습니다.
은퇴 신청을 해 당 조직부의 허락을 받았다고 합니다. 당 조직부는 그동안의 공적을 높이 평가했답니다. 

시속 169킬로 중국 신형 자기부상열차 시범 운행 성공

중국의 철도 굴기는 이제 세계를 이끄는 수준입니다.
신형 자기부상열차 시범 운행도 성공했다고 합니다. 시속 160킬로라고 하네요. 

해동이었습니다.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