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자체 건조 2호 항모, '광둥'호 곧 모습 드러낸다.

해동의 17일 자 [오늘의 중국]입니다. 

미중 무역협상 시작 … 신경전 치열

방미 중인 류허 부총리가 곧 미중 무역협상을 재개합니다.
16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양보할 것이 거의 없다"라고 강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중국도 지지 않네요.
"성의를 보여라"
환추스바오의 사설 제목입니다.
 

그런 가운데도 미중 양국 사이 새로운 타협 가능성을 점치는 입장도 있습니다.
BBC 중문 서비스는 "양국 간 이견 크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간의 깊은 정이 협상을 도울 것이라고 생각한다."라는 미 고관의 말을 인용했습니다. 

중국 당국, 인권 변호사 취재하던 홍콩 기자 현장에서 강제 구인

자유아시아 방송에 따르면 인권 변호사를 취재하던 홍콩 now TV 기자를 중국 당국이 현장에서

강제 구인했습니다.
법륜궁 관계자를 변호했던 변호사 셰옌이가 주최하는 좌담회 취재를 하다가 그랬다고 합니다. 

중국 당국이 원치 않는 사실을 취재한 결과입니다. 
홍콩 기자들의 잇단 수난이군요. 

 

미중 무역전보다 치열한 첩보전 진행 중. … 중, 전 CIA 이중간첩에게 평생 안전 보장했었다.

독일의 소리가 "미중 무역전보다 첩보전이 더 치열하다"라고 전했습니다.
전 CIA 정보원으로 있으면서 중국 당국에 미 CIA 정보요원들의 신원을 넘긴 이중간첩이죠.
리즌청이 중국에 평생 안전을 보장받았었다고 합니다.
이미 10만 달러의 돈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중국 두 번째 자체 제작 항모도 모습 드러내. … 이름은 '광둥'.

중국의 항모 굴기가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자체 제작 1호 항모가 시험 운행 중인 가운데 벌써 2초 항모의 소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관련 건조 중인 항모의 모습이 인터넷에 전해졌습니다.
이름은 '광둥'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아직 핵동력은 아니라고 합니다. 

 

해동이었습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