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빨간 맛’ 나는 스마트폰

아이폰8 레드 스페셜 에디션 VS 삼성전자 갤럭시S8 버건디 레드

 

 ‘빨간색을 둘러싼 스마트폰 경쟁이 치열하다. 아이폰7레드에디션을 내놓은 후 삼성전자가 갤럭시S8버건디 레드를 입혀 출시했다. 이어 애플은 다시 최근 아이폰8레드를 입혀 출시했다.
스마트폰 제조사가 스마트폰에 담은 빨간색은 같은 듯 서로 다르다애플은 순도 높은 레드, 빨간색을, 삼성전자는 이보다 진하고 무거운 버건디 레드를 입혔다.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색깔을 달리하는 이유는 표방하는 전략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동안 레드는 스마트폰에 거의 적용되지 않았던 파격적인 색상이다. 하지만 지난해 애플이 아이폰7에 빨간색을 입힌 데 이어 올해도 동일한 색상의 아이폰8 프로덕트 레드 스페셜 에디션을 선보였다. 뒷면과 옆면을 빨간색으로 마감했으며, 7과의 차이점은 7 레드는 전면이 하얀색이었지만 이번엔 검은색이라는 점이다. 또 뒷면이 알루미늄에서 유리 재질로 바뀌었다.

 

 

아이폰8 레드

 

 

 기능과 사양은 지난해 출시된 아이폰8 시리즈와 같다. 레티나 HD 디스플레이, A11 바이오닉 칩, 무선충전 기능 등을 탑재했다. 1200만 화소 듀얼 카메라를 장착, 다양한 조명 활용이 가능한 인물 사진을 찍을 수 있다. 레드 에디션은 종전 아이폰8 시리즈와 동일하게 64GB 256GB 모델로 출시되었다. 레드 색상이 추가되면서 아이폰8 시리즈는 스페이스 그레이, 실버, 골드에 더해 총 4종으로 구성되었다.  

 삼성전자는 지난 해 말에 출시된 갤럭시S8에 버건디 레드를 입혔다일명 적포도주색인 버건디 레드는 색상표에서 보라색이나 갈색에 근접한 어두운 빨간색이다. 삼성전자 측은 갤럭시S8 버건디 레드 색상에 매혹적이면서도 기품 있는 레드 컬러를 바탕으로 도시적인 개성과 강렬한 감성을 동시에 담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갤럭시S8은 미드나이트 블랙, 오키드 그레이, 아크틱 실버, 코랄 블루, 로즈핑크, 버건디 레드 등 6개의 컬러를 갖추게 됐다.

 

 

 

삼성전자 갤럭시S8 버건디 레드

 

 버건디 레드는 64GB 모델로 출시되었다. 스펙은 갤럭시S8과 동일하다. 5.8인치 디스플레이, 64GB 내장메모리와 후면 듀얼카메라가 적용되었다. 또한 기본적인 지문인식뿐만 아니라 안면인식 홍채인식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보안성이 뛰어나며, 삼성의 인공지능 비서인 갤럭시 빅스비가 탑재되었다. 기사=윤진희 기자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