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정지가 아닌 일시 정지일뿐! 데뷔 13년차, 군입대로 공백기를 맞은 빅뱅

 13년 간 쉴 새 없이 재촉했던 발걸음을 멈췄다. 바로 얼마 전 결혼을 한 이도 있으니 그들 스스로의 의지는 아니겠으나 화려한 옷을 벗어 던지고 국가의 부름을 받았다. 명실상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아이돌이자 힙합 뮤지션, k-pop의 아이콘, 빅뱅이다.   

 빅뱅이 걸어온 길은 언제나 파격, 그리고 성공이었다. 2006년 데뷔부터 당시 가요계에서는 보기 드문 앨범 형태였던 미니앨범을 발표했고, 타이틀곡인 ‘거짓말’이 유례없는 히트를 기록하며 데뷔 1년만에 정상 궤도에 올랐다. ‘거짓말’에 이어 ‘마지막 인사’까지 연이어 히트했지만 빅뱅은 멈추지 않았다. 2008년 일본의 인디레이블을 통해 해외 진출에 도전했다. YG라는 한국 대형 기획사의 파격적인 선택이었다. 그리고 2009년에는 일본 메이저 음악시장에 데뷔하면서 본격적인 일본 활동을 이어갔고 결과는 성공이었다. 

 

 

  

 이후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활동을 병행한 빅뱅은 활동 범위를 점차 넓혀갔다. 아시아 투어를 시작했고, 유럽·영미권으로 발을 넓혔다. 2011년 MTV 유럽 뮤직 어워드에서 아시아 가수 최초로 ‘월드와이드액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후 2012년 첫 월드투어 개최를 시작으로 전 세계 80여만명의 관객을 동원한 데 이어 2015년 한국 가수로는 처음 시도하는 두 번째 월드투어를 통해 150여만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미국 포브스가 뽑는 ‘2016 셀러브리티 100’에 선정되기도 했다. 아이돌 그룹으로는 흔치 않게 GD&TOP, GD&태양과 같은 유닛 및 멤버별 솔로 활동에서 모두 좋은 결과를 얻기도 했다. 대규모 팬덤뿐 아니라 대중적 인지도, 지드래곤이라는 보증된 프로듀서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빅뱅은 입대로 생기는 공백을 채우기 위한 방법으로 음악을 택했다. 신곡 ‘꽃 길’을 발표한 것이다. 이들의 선택은 옳았다. ‘꽃 길’은 발매된 직후 국내 음원차트 1위 자리를 내놓지 않고 있다. 중국 QQ뮤직과 일본 아이튠즈, 오리콘 차트에서도 정상을 차지했다. 빌보드, 타임, BBC 등 외신도 빅뱅의 인기를 집중 조명했다. 팬들이 가장 감동받은 것은 바로 가사다. “떠나려거든 보내 드리오리다. 님이 가시는 길에 꽃을 뿌리오리다. 그리워지면 돌아와줘요. 그때 또 다시 날 사랑해줘요. 이 꽃 길 따라 잠시 쉬어 가다가 그 자리 그 곳에서 날 기다려요.” 빅뱅이 잠시 팬들을 떠나 있는 동안 팬들 역시 자신들을 떠나더라도 다시 돌아왔을 때 한 자리에서 만나기만 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담겨있다.  

 멤버들은 제대 이후의 활동에 대해 한 목소리로 얘기했다. 빅뱅은 앞으로도 빅뱅일 것이란 것. 태양은 “10년간 무대에서 노래할 수 있게 만들어 주셔서 감사하다. 빅뱅의 앞으로의 10년을 논의하고 더 큰 그림을 그리고 있다”고 말했다. 지드래곤은 “그때가 되면 나이도 더 들어있을 거고 생각도 바뀌어 있을 거다. 빅뱅을 한다, 안 한다 개념이 아니다. 언제까지나 빅뱅일 거고 5명이 함께 할 사람들이라는 확신이 강하게 있기 때문이다"며 "군대에 다녀와서도 다들 갔다 왔으니 빨리 앨범을 내자는 게 아니라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우리가 자신감을 찾았을 때. 새로 만든 무언가에 확신이 들 때 다시 여러분 앞에 나타날 거다"며 "마음만은 오래오래 멤버들과 함께 하고 싶다"고 했다.

이동경 기자

 사진출처=news1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