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중 속담 비교]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蚁穴溃堤

 

“蚁穴溃堤”来源于一个传说:一个村庄为了防止水患,筑起了长堤。
"蚁穴溃堤(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는 한 전설로부터 유래했다. 어느 한 마을이 수재를 대비하여 긴 제방을 만들었었다.

一天,有个老农发现蚂蚁窝一下子猛增了许多。
하루는 제방에 개미집에 빠르게 늘어난 것을 어떤 농부가 발견했다.

老农担心蚂蚁窝会影响长堤的安全想回村报告,路上遇见了他的儿子,他儿子不以为然。
농부는 개미집이 제방에 문제를 일으킬까 걱정하여 마을로 돌아가 보고하려고 했다가 길에서 아들을 만났다. 하지만 그 아들은 이 문제를 별거 아니라고 생각하여 넘겼다.

当天晚上风雨交加,河水暴涨。河水从蚂蚁窝始而渗透,继而喷射,最终长堤决口,淹没了沿岸的大片村庄。
그날 밤, 바람과 비가 거세지고 강물이 빠르게 불어나, 강물이 개미집을 통하여 흘러들어오기 시작했고, 빠르게 뿜어져 나와 결국에는 제방에 구멍이 뚫려 강변의 마을들이 물에 잠겼다.

一个小小的蚂蚁窝,能够使堤岸溃决。比喻小事不注意,就会出大乱子。小事不慎,将酿大祸。
작디작은 개미집이 제방을 무너뜨릴 수 있다. 이는 작은 일에 부주의했다가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을 비유한다. 작은 일에 소홀하다가 큰 화를 야기할 수 있다.

 

蚁穴溃堤

yǐxuékuìdī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둥지. 둥우리. 보금자리. 우리. 집. 굴. 자리.

不以为然

bùyǐwéirán

그렇게 여기지 않다. 그렇다고는 생각지 않다.

溃决

kuìjué

큰물이 제방을 터뜨리다〔무너뜨리다〕

niàng

양조하다. 술을 빚다.
빚다. 점차 형성하다〔조성하다〕.

 

 

 

 

 

 

韩国也有类似的俗语“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翻译成中文就是细雨湿衣看不见。
한국 역시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라는 비슷한 속담이 있으며, 이를 중국어로 직접 번역하면 "细雨湿衣看不见。"이다.

外面下着让人无法察觉到的小雨,可是渐渐地你却会发现自己的衣服已经被小雨打湿了。
느낄 수 없을 정도로 내리는 가랑비지만, 어느샌가 자신의 옷이 가랑비에 이미 다 젖어버린 것을 발견하게 된다.

一滴雨不可怕,而成千上万滴雨滴积累起来,却能造成无法想象的后果。
한 방울의 비는 무섭지 않지만, 수없이 많은 빗방울이 쌓이기 시작하면 상상할 수 없는 결과를 불러오게 된다.

这两个俗语表达的都是同一个意思,凡事要从大处着眼,小处入手,不能放过任何一个细节。
이 두 가지 속담은 똑같은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 큰 것에서부터 착안하되, 작은 것부터 시작해야 하며, 어느 하나 작은 것도 소홀히 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当发现不安全的隐患后,必须迅速进行整改,避免问题积累,浅水沟里翻船。
숨겨진 우환거리를 발견했을 때, 빠르게 고쳐야 한다. 문제를 피하기만 하면, 얕은 도랑물에도 배가 뒤집어진다.

 

察觉

chájué

발견하다. 느끼다. 발각되다. 알아채다. 

成千上万

chéngqiānshàngwàn

 수천 수만. 대단히 많다.

着眼

zhuóyǎn

고려하다. 관찰하다. 눈을 돌리다. 착안하다.

隐患

yǐnhuàn

 잠복해 있는 병〔화(禍)·위험〕. 겉에 드러나지 않은 폐해〔재난·재앙〕.

gōu

(논밭의) 도랑.
 (~儿) 개울. 개천. 도랑. 내. 시내. 수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