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역사 속 권력자의 공간이 시민의 공간으로SeMA 벙커

 VIP의 비밀지하벙커가 전시관이 되었다. Sema 벙커는 과거 권위주의 정권 당시 대통령 경호를 위해 지어진 비밀 벙커였지만 현재는 시민들을 위한 전시 공간으로 탈바꿈했다위치는 수많은 사람들이 오고 가는 여의도여의도 시민공원 외에는 특별한 여가 장소가 없던 여의도에 문화예술적 감각을 충전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긴 것이다.

 

 

 

그 어디에도 흔적이 없던 지하 공간비밀의 문이 열리다

 2005년 여의도 일대가 떠들썩해졌다서울시가 여의도에 버스환승센터를 건립하기 위해 현지 조사를 진행하던 중 지하벙커를 발견했기 때문이다더욱 놀라운 것은 그 어디에서도 이 지하벙커의 흔적을 찾을 수 없었다는 것이다소관 부처가 없음은 물론 국토교통부와 수도방위사령부의 등 어느 부처에서도 관련 자료를 찾을 수 없었다.

 발견 당시 벙커에는 자물쇠가 채워져 있었고내시경을 넣어 조사한 끝에 벙커라는 사실이 확인됐다전체 공간은 소파와 화장실을 갖춘 VIP(20)과 지휘대 및 기계실이 있는 수행원 대기실(180및 3개의 출구로 구성돼 있었다관련 기록물은 없지만 서울시가 보유하고 있는 항공사진 확인 결과 벙커의 출입구가 1976년 말에서 1977년 초에 벙커가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5·16광장에서 국군의 날 행사가 개최되었을 당시의 사열대와 벙커의 위치가 일치한다는 점을 볼 때 박정희 대통령 시절 유사시 요인 대피용 방공호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复原了地堡发现时放置在这里的沙发,供访客体验的SeMA地堡历史画廊。   



과거 권력자의 공간 그 모습 그대로역사갤러리

 비하인드 스토리만 들어도 호기심을 자극하는 지하 벙커가 내부 손질을 거쳐 서울시립미술관(SeMA)이 운영하는 문화예술공간, SeMA벙커로 탈바꿈했다전시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노출 형태로 천장을 마감해 천장 높이를 높였다또한 벽면을 흰색으로 칠해 비밀 지하 벙커라는 어두운 분위기를 벗고 한층 밝고 환한 분위기로 변신했다하지만 역사적 의미는 살렸다전시장 안쪽 공간에 역사갤러리(VIP)을 만든 것이다. VIP가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이 방에는 발견 당시 나온 소파를 비슷한 형태로 복원해 시민이 직접 앉아볼 수 있도록 했다또한 세면대와 좌변기를 비롯한 화장실 시설물을 그대로 두었다발견 당시 나온 열쇠 박스도 복원해 전시했다이 공간은 단순히 과거를 복원한 박물관을 넘어 역사 갤러리로 활용된다개관 당시 전시되었던 윤지원 작가의 영상 작업물 <박정희벙커>를 시작으로 ‘SeMA벙커 아카이브 프로젝트가 이어지고 있다.


SeMA벙커의 201 8년 첫 기획 전시 <돌아오지 못한 영혼들>

 SeMA벙커는 이 공간이 갖는 특수한 의미를 살리기 위해 역사 및 인권관련 전시를 주로 기획하고 있다. 201 8년 첫 기획전은 일제강점기 강제 노동의 역사를 조명하는 전시 <돌아오지 못한 영혼들>을 개최했다. 3·1운동 99주년을 기념하여 기획된 이 전시는 지난 2015년에 전시된 <70년만의 귀향>의 연장이다. 1996년부터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일본 훗카이도에서 한국과 일본의 민간 전문가들과 학생청년들이 함께 발굴한 강제징용 희생자 유골 115구를 고향의 품으로 돌려보낸 ‘70년만의 귀향’ 사업 과정이 담긴 것이다.

 작가 손승현은 이 과정을 다큐멘터리 사진 형식으로 재현했다또한 작품과 더불어 역사적 사건들을 되짚어 볼 수 있는 자료들도 아카이브 형식으로 구성해 선보인다데이비드 플래스의 다큐멘터리 ‘So Long Asleep’은 ‘70년만의 귀향’ 과정을송기찬의 다큐멘터리 ‘Another 고향은 유골발굴에 참여했던 재일동포들의 정체성에 관한 인터뷰를 담았다.

 <돌아오지 못한 영혼들> 3월 1 SeMA벙커에서의 전시를 시작으로 4 15일까지 관람할 수 있다이후 8일본의 오사카와 도쿄로 전시가 이어질 전망이다.

 

 

 

이동경 기자

사진제공=서울시립미술관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11 지하

지하철 5호선 여의도역 3번출구, 9호선 국회의사당역 3번 출구 여의도 버스환승센터

+82-2-21214-8941(서울시립미술관)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