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미국에 콩과 자동차, 면화로 반격?

해동의 23일 자 [오늘의 중국]입니다. 

미, 중의 대미 수출품에 대해 25% 관세 부과 … 대중 무역 전쟁 선전포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대미 수출품에 25% 고관세 부과를 명했습니다.
그동안의 중국 경제 침략에 대한 방어라고 했습니다.
중국 역시 미국의 대중 수출 주요 상품인 콩과 자동차, 면화 등을 언급하며 "절대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무역전쟁의 결과는?

미중 무역전이 본격화되면서 뉴욕 증시 하락 등의 부작용이 나오고 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트럼프의 관세 부과에 대해 자기 발등 찍는 것 아닌가?는 우려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사실 미국, 중국의 국제 영향력은 이미 상상을 초월한 상태인데, 정말 걱정입니다. 

중국, "호적이냐, 영주권이냐 선택하라" 통보

중국 당국이 호적과 영주권 모두를 가지고 있는 이들에게 중국 호적을 없애도록 정책을 마련했습니다.
우선 상하이上海에서 오는 5월 1일부터 시작을 합니다. 
적지 않은 화교들이 중국 국적과 타국적을 가지고 중국에서 영주권을 받은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이제 이럴 경우 법을 어기는 게 됩니다. 

중국, IT 기술로 빅브라더 사회 구현

중국이 발달하는 IT 기술을 철저한 주민 통제 수단으로 쓰고 있다고 합니다.
소위 과학 통제 '빅브라더 사회'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항저우杭州 경찰이 범인 식별 안경을 이미 착용하고 있고, 인터넷에서는 철저한 방어막이 작동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사회 주민 신용 평가 제도를 도입하려 하고 있습니다.
모든 주민을 평가해 점수를 매겨 관리한다는 것입니다.
말 그대로 점수가 낮으면 중국 경찰의 자동 감시 대상이 될 수 있는 것이죠. 

중국 사회과학원, 베이징시 법 집행에 문제 있다고 공식 지목해 눈길.

중국 사회 과학원이 최근 '사회 치안 청서'를 발간하면서 베이징의 시내 간판 정리 사업 등이 사회 행정 집행의 부적절한 사례였다고 공식 지목했습니다. 베이징北京시는 지난 연말 저소득 외지 노동자들을 시에서 내쫓는가 하면 도시 미화 정비 사업으로 간판 강제 철거 사업을 펼쳐 사회 반발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지난 20년간 홍콩, 내륙 간 결혼 48만 쌍 넘어

보쉰博讯에 따르면 홍콩과 중국 대륙 간 결혼 사례가 지난 20년간 48만 8000쌍에 달한다고 합니다.
이는 홍콩 전체 가정 수의 20%에 달하는 숫자입니다.
홍콩이 점차 중국과 하나가 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글 = 박선호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