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이킴 <그 때 헤어지면 돼>

 2월 12 발표한 로이킴의  ‘그때 헤어지면  2 이상 차트 상위권에 머물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조지타운대에서 학업 중인 가운데 방송이나 별다른 활동 없이 음원만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어 더욱 의미 있는 성과다.   

 

 

 

 

 

 

 ‘그때 헤어지면 감성적인 발라드 곡이다. 가사도, 멜로디 라인도 이전 히트곡보다 단순하고  힘이 빠졌다. 그래서 듣기 편안하다. 로이킴이 직접 작사, 작곡한 곡에 기타리스트 홍준호와 베이시스트 최훈의 연주를 더해 완성도를 높였다. 브라운아이드소울, 윤종신, 성시경 국내 최고 남자 보컬리스트들과 함께 작업해온 작곡가 강화성의 편곡과 보컬리스트 조규찬의 코러스는  전체를 따뜻하고 풍성하게 만든다. 

 뮤직비디오 역시 인기몰이 요소 하나. 뮤직비디오에서 로이킴은 흔한 남자 주인공처럼 우수에 눈빛으로 빗속을 걷거나 연인과의 사진을 불태우는 등의 행위를 하지 않는다. 다만 오지 않는 연락을 기다리며 끊임없이 휴대폰을 열어본다. 친구들과 농구가 끝난 후에도, 혼자 놀이터에 앉아 있을 때도, 밤에 졸면서 과제를 하다가 깼을 때도 수시로 휴대폰을 확인한다. 평범한 사람들의 외로움과 그리움을 담아낸 뮤직비디오는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어냈다. 특히 로이킴이 실제 학업 중인 미국 조지타운대학교를 배경으로 더욱 사실적인 느낌을 준다. 

 

 

 로이킴은 2012 오디션 프로그램 <슈퍼스타K>에서 우승을 거머쥐며 가요계에 데뷔했다. 당시 준수한 외모, 미국 명문대에 합격한 학생이라는 , 국내 주류 기업 회장 아들이라는 점이 화제를 모았다. 이후 발표하는 곡마다 히트를 기록하면서 엄마 친구 아들처럼 잘생기고, 똑똑하고, 돈도 많다 의미의 엄친아 그를 대표하는 단어가 되었다. 

 

 

 로이킴은 엄친아라는 타이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이유 없이 비하하고 싶은 이들이 쟤는 아무것도 안했겠지라고 단정짓는다. ’ 노력했어요라고 외쳐봤자 들어주지 않을 안다라고 털어놨다. 이어 그저 길을 가고, 열심히 뿐이다. 슬픈 얘기나 상처에 대해 얘기하고 싶지 않다. 내가 이겨내야 부분이고, 좋은 것만 공감 받고 싶다라며 솔직한 마음을 고백했다.

 

 

  이동경 기자

 

우리 나중에는 어떻게 될진 몰라도 
정해지지 않아서 그게 나는 좋아요

 

 

남들이 뭐라는 뭐가 중요해요
서로가 없음 죽겠는데 뭐를 고민해요 
우리 함께 사랑해도 되잖아요 
네가 다른 사람이 좋아지면
내가 없는 익숙해지면 
그때가 오면 그때가 되면 그때 헤어지면 돼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