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응답하라 90's! 다시 뭉친 1세대 레전드 아이돌_젝스키스 vs H.O.T

 평창 동계 올림픽 폐막식의 하이라이트를 장식한  그룹 엑소와 CL 퍼포먼스였다. 한국대중음악상이 선정한 올해의 음악인 방탄소년단이었다애들이나 좋아하는 으로 폄하되던 아이돌 그룹은 이렇게 201 8년 한국 대중문화의 표상이 되었다. 그리고 이들의 성장 뒤에는 레전드 불린 1세대 아이돌 그룹, H.O.T 젝스키스가 있었다.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 속으로 사라질 뻔했던  그룹이 다시 돌아왔다MBC <무한도전>의 프로젝트 <토요일 토요일은 가수다(이하 토토가)> 덕이다1990년대 인기가수들을 한 자리에 모두 모으는 저력을 과시했던 <무한도전>은 2016년 젝스키스 재결합을 골자로 한 <토토가> 2탄을 방영했. 이어 201 8년 2월에는 H.O.T.까지 <토토가> 3탄을 통해 무대에 결집시켰다. 풋풋했던 10 소년들은 사라졌지만 레전드 무대는 여전했다. 

 

 

 젝스키스는 데뷔곡 학원별곡 시작으로 폼생폼사’, ‘커플 대히트 시키며 아이돌 팬덤을 넘어선 대중적 인기를 얻었다. 이들은 짧은 활동 기간에도 불구하고 가요계에 많은 기록을 남겼다. 아이돌 최초로 세종문화회관에서 콘서트를 열었고, 아이돌 최초로 평양에서 공연하기도 했다. 하지만 2000 데뷔 3 만에 갑작스런 해체로 많은 팬들의 아쉬움을 샀다. 

 

 

 

출처=news1

 

 

 

 

 

 

 그러나 이들의 마지막은 2000년이 아니었다. 2016 <토토가> 2탄을 통해 16 만에  무대에 섰던 젝스키스는 멤버 고지용을 제외한 다섯 명이 YG엔터테인먼트와 계약하고 YG 체계적인 지원 속에 정식으로 다시 컴백했다재결합 이후 내놓은  단어 음원 차트 1위를 기록하며 현역 아이돌로서 일본 진출에 나서기도 했다. 

 

 

 젝스키스의 재결합 이후 라이벌이었던 H.O.T 재결합 여부도 세간의 관심사였다. 멤버들의 개인사정으로 인해 H.O.T 재결합은 불발되는 듯했지만201 8 <무한도전>의 힘을 빌려 17 만에 다섯 명이  무대에 올랐다. H.O.T. 멤버들은 데뷔곡 '전사의 후예'를 시작으로 '캔디', '행복', '빛', '아이야' 등 히트곡 무대를 선보였다. 17년 만에 H.O.T.의 완전체 무대를 보게 된 팬들은 아낌없는 박수와 환호를 보냈. 

 

 

 

사진출처=MBC


 

 H.O.T ‘High-five Of Teenagers’ 약자로, SM엔터테인먼트 이수만 회장이 직접 기획한 그룹이다. 직속 후배라고 있는 동방신기, 엑소 이전에 최대 규모 팬덤을 자랑하던 역대급아이돌이었다. 아이돌 최초 연간 최대 음반판매량 달성, 아이돌 최초 자작곡 대상 수상, 최초 방송 3사 가요대상 '올킬', 한국 가수 최초 잠실주경기장 공연 매진 등 수많은 기록을 남겼다. H.O.T 콘서트 소식이 메인 뉴스에 소개되었고, 콘서트 날이면 지하철이 연장 운행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2001 전격 해체를 선언, 뿔뿔이 흩어졌다. 강타, 문희준은 솔로 가수로 데뷔했고, 장우혁, 토니안, 이재원은 그룹 JTL을 결성, 활동을 이어갔다. <토토가> 방송 직후 강타 자신의 SNS에 "끝이 아닌 시작이기를. H.O.T Forever"라고 올리며 공식 재결합에 대한 기대를 남겼다 

 한국대중음악상 올해의 음악인 방탄소년단에 대한 심사평은 이러하다. 한국 대중음악 안에서 태어난 그룹이 스스로를 질료로 완성한 음악으로 한국은 물론 세계의 동시대 젊음을 사로잡았다.” 결국 아이돌 그룹이 당대 젊은 층의 마음을 사로잡는 비결은 같은 시대 같은 공간에 대한 공감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이제는 팬들과 함께 3~40대가 젝스키스와 H.O.T 노래할 201 8년이 궁금하다. 

 

 

이동경 기자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