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굿바이 평창’ ... 2018 평창동계올림픽 폐막

 

폐막식을 끝으로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열전이 마무리됐다. 25일 강원 평창의 올림픽스타디움에서 진행된 2018 평창동계올림픽 폐회식의 선수단 입장은 개회식과 사뭇 달랐다. 국가별로 차례로 입장했던 개회식과 달리 각 국가 별 기수들이 먼저 어우러져 나왔다.
이번에는 남북 공동 기수는 없었다. 한국의 기수로는 스피드스케이팅 간판 이승훈, 북한의 기수로는 피겨스케이팅의 김주식이 나왔다. 한반도기는 자원봉사자가 들었다. 윤성빈, 이상화 등 선수단은 관중의 뜨거운 함성 속에 마지막 순서인 92번째로 등장했다. 선수단 등장에서 가장 큰 박수와 함성이 쏟아진 순간이었다. 메달리스트는 자신이 딴 메달을 목에 걸고 나왔으며 선수들은 자유롭게 사진을 찍고 춤을 추며 축제를 즐겼다.
올림픽기는 다음 개최도시인 중국 베이징시로 넘겨졌다. 천지닝 베이징 시장은 바흐 IOC 위원장으로부터 올림픽기를 전달받았다. 이와 함께 폐회식 중에 중국을 위한 시간이 마련됐다.    이날 연출을 맡은 장이머우 감독은 짧은 시간 동안 중국의 전통과 미래를 보였다. 24번째 동계올림픽을 기념해 24명의 스케이터가 무대에 등장했다. 이들은 2개 조로 나뉘었는데 각 조의 리더는 판다의 형상을 갖춘 채 무대를 자유로이 누볐다.

폐회식에는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맏딸 이방카 트럼프 백악관 보좌관,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등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윤진희 기자

출처 = news1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