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년 연기 내공 … "매 순간 슬럼프, 뜨거움이 연기 비결”_ 장혁

 “ 순간이 슬럼프고 순간 극복해왔습니다.”

 장혁이 20년간 정상의 자리를 지키며 배우로 살아온 비결은 간단했다그는 스스로 연기는 3, 자세는 7”이라고 말했다배우로서 연기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전에 연기를 하려는 자세를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실제로 다양한 무술을 섭렵한 무도인이기도  장혁은 항상 운동으로 몸과 마음을 다스리고 스스로를 채찍질하며 지금까지 달려왔다.

 

ⓒ sidus HQ


       “每个瞬间都是低谷。一天就有好几次低迷的感觉。表演哭泣的时候,实在流不出泪来。这样的时候,我都想咬舌头挤出眼泪。翻过一道墙就有另外一道墙。正如‘翻过一山又一山’。面对这样的痛苦,我们(演员)要撑住。表演拳击的时候,进入有可能被对方击打的物理空间,才有机会打到对方。就这样,表演的时候经常被击垮,但我每次都振作起来了。”
       张赫最近刚拍完MBC电视台的周末剧《金钱之花》。张赫在剧中饰演隐瞒自己是会长孙子的身份、一生作为律师生活的“姜必洙”。张赫之前一直担任迷你连续剧的主演,所以有些人问他出演周末剧的理由,张赫称被电视剧《金钱之花》的魅力迷倒,毫不犹豫地选择了出演,并通过作品的完成度与收视率,证明了他的选择是正确的。

 

ⓒ news1

 

 “ 순간 슬럼프라고 느낍니다하루에도  번씩 그런 느낌이 찾아오죠우는 연기를 해야 하는데 도무지 눈물이  나요혀라도 깨물고 싶죠하나의 벽을 넘으면  다른 벽이 있어요 넘어 산이죠그런 아픔을 견뎌야 하죠복싱을   상대방에 맞을  있는 거리 안으로 들어가야 저도 때릴  있죠그와 마찬가지로 저도 깨지길 반복하면서 연기를 합니다그런 방식으로  순간 슬럼프를 극복해왔어요.”

 장혁은 최근 MBC 주말극 <돈꽃> 마쳤다재벌가의 실제 장손이지만 정체를 숨긴  변호사로 살아온 강필주 역을 맡아 탄탄한 연기력을 뽐냈다주로 스타들이 참여하는 미니시리즈의 주역을 맡아왔던 터라 그에게  주말극에 출연하냐?” 묻는 이들도 있었다하지만 장혁은 <돈꽃>이라는 드라마가 가진 매력에 매료돼 주저없이 선택했다그리고 작품성과 흥행으로 자신의 선택이 틀리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했다.

 “ 드라마를 연출한 김희원 PD와는 주연작 <운명처럼  사랑해> 단막극 <오래된 안녕>에서 호흡을 맞춘 적이 있어요연출 실력이 뛰어나서 나랑 같이 입봉하자 얘기했었죠주말에 2 분량이 연속 방송되기 때문에 상황이 좋지 않았어요그래서  PD에게 즐겁게 망하자 했죠하지만 주말극스럽지 않다 평가가 나와서 오히려 시청자들에게 신선하게 다가갈  있었던  같아요.”

 

 

Ⓒ sidus HQ

 

 소위 막장논란도 있었다. 다소 자극적인 소재 때문이다. 하지만 회차를 거듭할수록 이런 우려는 호평으로 바뀌었다. 소재가 다시 자극적일 , 풀어가는 방식이 세련돼 눈을 없었다. 거기에 장혁을 비롯해 출연 배우들의 호연이 더해지니 막장이라는 수식어는 어느새 명품으로 바뀌어 있었다. 

 

 “<돈꽃> 막장 드라마가 아니. 막장은 극단적인 것을 표현하는데, <돈꽃> 현실에 있을 법한 이야기를 그렸죠. 물론 드라마이기 때문에 속에 담긴 이야기 자체는 허구지만 시청자들이 보고 공감할 요소가 많아요. 1회에 나온 이야기와 인물이 마지막회까지 다뤄지는 것을 보면서 작가님이 생각하고 있었구나라고 느꼈죠. <돈꽃> 웰메이드 막장’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 작품은 분명 막장이 아닙니다.”

 

 장혁은 <돈꽃> 중국 명품 영화 <, > 비교하기도 했다. <, > 변절한 남자를 암살해야 하는 여자가 결국 남자와 사랑에 빠지는 과정을 담은 영화였다.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힘들지만 <, > 보고 있노라면 양조위와 탕웨이의 변해가는 감정에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듯, <돈꽃> 역시 그들의 결정과 행동에 공감하게 된다.

기사=김소리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