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언어를 뛰어넘은 즐거움과 감동 넌버벌 퍼포먼스

 

 

 

 

 

 

  언어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가장 중요한 매개이다. 사람들은 한마디에 상처받고, 줄에 살아갈 힘을 얻는다. 하지만 언어만이 유일한 소통 수단은 아니다. 언어의 한계를 뛰어넘어 몸짓을 비롯한 감각으로 즐거움과 감동을 전하는 퍼포먼스가 있다. 넌버벌 퍼포먼스(Non-verbal performance)다. 무언극, 마임으로 시작된 넌버벌 퍼포먼스는 더욱 다채로운 방식으로 우리의 감각을 자극하고 있다. 

 

No.1 한국형 넌버벌 퍼포먼스, 난타

 

 한국 넌버벌 퍼포먼스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줄거리는 단순하다.  시간 내에 모든 음식을 준비해야 하는 상황 요리사들의 좌충우돌 이야기다. 압권인 것은 역시 주방기구를 이용해 펼치는 타악 퍼포먼스다. 흔히 주방에서 볼 수 있는 도구에서 흥겨운 음악이 탄생한다. 

 <난타>가 세운 기록을 보면 놀랍다. 1997 초연 이후 세계 57개국 310 도시를 돌며 꾸준히 공연했다. 관객 수는 1300만을 넘었다. 1999 해외 데뷔 무대인 영국 에딘버러 프린지 페스티벌에서 최고의 평점을 받았고, 2003 한국 공연 단체로서는 최초로 미국 브로드웨이 뉴빅토리 씨어터에서 공연을 했다. 싸이와 방탄소년단에 앞서 미국 NBC 간판 토크쇼에 출연해 한국 공연문화를 전역에 알리기도 했다. 

 난타가 해외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을 있었던 것은 바로 ‘한국형 넌버벌 퍼포먼스였기 때문이다. 제작자 송승환은 90년대 초반 인기를 끌었던 스톰프(Stomp)’라는 장르의 공연에서 모티브를 얻었다고 밝혔다. 스톰프는 양철 쓰레기통, 빗자루 등을 이용한 타악 리듬에 마임과 춤을 더한 공연이다. 스톰프가 갖고 있는 매력적인 콘셉트는 공유하면서 거기에 한국적 리듬을 붙였다. 흔히 주방에서 법한 소리로 사물놀이 장단과 박자를 만들었다. 이는 국내 관객들에게는 친숙한 흥겨움을, 해외 관객들에게는 이국적인 비트를 즐길 기회를 선사하며 한국 공연예술 역사를 바꿨다. 

2009.10.10~오픈런

난타극장(명동, 홍대, 제주)

https://www.nanta.co.kr:452  

 

관객과 함께 만들어가는 퍼포먼스, 셰프

 <난타>의 아성에 도전하는 작품으로, 2011년 <비밥>이라는 타이틀로 초연해 큰 사랑을 받았던 공연을 업그레이드했다. <셰프>는 제목처럼 재료 손질부터 손님에게 요리를 건네는 순간까지의 과정을 그린 뮤지컬이다. 거기에 대결이라는 코드가 들어가 흥미롭다. 자신의 요리비법이 최고라고 생각하는 레드 셰프와 그린 셰프의 대결이 주요 골자이다. 스시, 치킨누들, 비빔밥 등의 주문이 들어오면 라이브 비트박스와 비보잉으로 요리를 만들어내는 퍼포먼스를 선보인다.

 <셰프>만의 매력은 생동감이다. 특수효과나 음원 없이 배우들이 100% 라이브로 비트박스를 선보인다. 또한 공연 중 관객에게 직접 음식을 주문하게 한다. 이 과정에서 누구도 예상치 못한 웃음포인트가 생기기도 한다. 배우와 관객이 함께 호흡하면서 관객에게 단순히 공연을 관람했다는 것이 아니라 공연에 참여했다는 느낌을 준다. 
2017.04.01~오픈런

시네코아 셰프 전용관

http://www.musicalchef.net 

 

마술 같은 미술 퍼포먼스, 페인터즈 히어로

 <난타>와 <셰프>가 청각을 자극하는 퍼포먼스라면 <페인터즈 히어로>는 시각을 자극하는 퍼포먼스다. 마이클 잭슨, 이소룡 한때 누군가에게 영웅이었던 인물들이 액션페인팅, 스크래치, 마블링, 크로키 드로잉 10가지 미술 기법을 통해 무대에서 재탄생 된다. 

 그림이라고 하면 2D 고정된 이미지를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페인터즈 히어로>의 작품은 캔버스를 벗어났다. 그림을 완성하는 과정에 경쾌한 코미디 마임과 신나는 춤이 얹어지고, 다양한 미술 기법을 활용한 라이브 드로잉에 첨단 미디어 아트가 더해졌다. 마이클 잭슨의 노래에 맞춰 붓을 움직이고 나면 마이클 잭슨의 얼굴이 완성되어 있고, 영화 <닌자 어쌔신>의 음악에 맞춰 몸짓을 하다 보면 대나무 숲 속 호랑이가 나타나는 식이다.  

 2D와 4D,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결합한 덕분일까. <페인터즈 히어로>의 상승세가 놀랍다. 2010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넌버벌 퍼포먼스 관객 상승률 1위를 수상하더니 2015년에는 대한민국 한류대상 뮤지컬부문 국회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장상을 수상했다.  

2013.11.01~오픈런

서울극장

http://thepainters.co.kr/cn/ 

 

대한민국 3대 문화브랜드를 한 번에, 마샬아츠 혼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