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라디오 로맨스 》

    2018  1 29 KBS2에서 방영을 시작한 월화드라마

 

 

 

라디오의 따뜻한 아날로그 감성은 통할까.

 

 

<라디오 로맨스>는 라디오국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로맨스 드라마이다. 대본 없이는 아무것도 못하는 톱 배우 지수호(윤두준 분)와 글 쓰는 것 빼고 다 잘하는 라디오 서브작가 송그림(김소현 분)이 라디오 부스에서 펼치는 이야기이다. 

 

 

<라디오 로맨스>는 주연 배우 윤두준, 김소현  사람 모두에게 의미가 있는 작품이다. 윤두준에겐 지상파  주연작이며김소현에겐 성인이   맡게   작품이다. 윤두준은 <식샤를 합시다>, <퐁당퐁당LOVE>에서 상대역과 좋은 케미 이루며 로맨틱 코미디계의 신흥강자로 꼽혔다. 윤두준은 이번 작품에서도 쿨한 이미지와는 달리 매일 악몽을 꾸며 대본으로 인해 고통받는  배우의 내면을 표현하며 대중의 기대에 완벽히 부응했다. 

 

Ⓒ KBS 

 

        방송 이후 김소현 역시 성인 연기자로서 합격점을 받았다. 사실 김소현의 연기력에 의심을 품는 사람은 적을 것이다. 드라마 <후아유>, <페이지 터너>, <도깨비>영화 <순정>, <덕혜옹주>  최근작이 증명하고 있기 때문. 성인이    작품인 <라디오 로맨스>에서는 전에 보이지 않았던 새로운 매력으로 시청자들에게 다가섰다. 자연스러운 운전 연기와 화려한 폭탄주 제조 스킬 등을 선보이며 4년차 서브작가의 애환을 실감나게 살렸다. 노출이나 화제몰이 없이 작품을 통해 성인연기자로 발돋움하는 좋은 선례를 남긴 것이다.

 드라마의  다른 매력은 라디오라는 소재를 전면에 내세운 만큼 아날로그한 감성이 묻어난다는 . 1회는  시절 우리는 모두 누군가를 사랑했던 소년 소녀였고, 당신도 누군가의 첫사랑이었을지 모른다 라디오 오프닝 멘트로 문을 열었다. 드라마를 연출한 문준하 PD  명의 주인공이 행복을 찾아가는 따뜻한 이야기다. 맑고, 밝고, 따뜻한 드라마가  것이다 기대를 당부했다.

 

기자 이동경


사회

더보기
장관이대에서 고농현허까지 사자성어로 본 중국 AI 조작 광고 사기행각
“‘장관이대’(張冠李戴) 광고 사기 수법을 아시나요?” 중국 매체가 AI조작을 통한 사기판매 행각을 사자성어로 정리해 눈길을 끈다. 대표적인 성어는 ‘장관이대’(張冠李戴)다. 본래 뜻은 장씨의 관모를 이씨가 쓰고 있다는 의미다. 흔히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 자리를 앉아 권한을 행사할 때 쓴다. 또는 일은 장씨가 하는 데 생색은 이씨가 낸다는 의미도 있다. AI 조작 사기에서는 유명 연예인이 광고한 적 없는 데 AI로 조작해 유명 연예인이 모델로 나서 광고하는 브랜드인양 속이는 것을 말한다.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는 광고의 제품에 대해 일반인들은 제품이 하자가 있거나, 사기일 것이라는 생각을 못하기 때문에 이용되는 수법이다. 가장 보편화된 AI 조작 광고 수법이다. 이 보다 한층 심각한 범죄가 ‘무중생유’(無中生有) 수법이다. 성어 의미는 완전한 거짓이라는 뜻이다. 없는 곳에서 물건을 있다고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AI 조작 사기광고에서는 단순히 모델로만 유명 연예인을 AI 조작해 등장하도록 하는 게 아니라, 더 나아가 마치 없는 할인 행사를 하는 듯 광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속이는 것이다. 할인 혜택이 있는 예약 구매를 유도하는 듯한 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