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백중지세(伯仲之勢),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

       

 

 

 

 

  

 

 

 우리 민족과 오랜 세월을 함께 수호신 호랑이. 호랑이는 이번 평창동계올림픽의 마스코트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호랑이를 주제로 특별전이 평창동계올림픽과 동계패럴림픽을 기념하기 위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최되고 있다. 같은 다른 한중일 3국의 호랑이를 조명하는 전시로 어느 때보다 의미가 깊다.   

 

 

 평창동계올림픽의 마스코트인 수호랑은 호랑이를 모델로 했다. 단군 신화에도 등장하는 호랑이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에서 모두 ‘백수의 왕’으로 여겨져왔던 신성한 동물이었다.

 한·일·중 3국 미술에서 모두 호랑이는 수호신, 군자(君子), 전쟁과 무용(武勇)을 상징하고 귀신을 물리치는 ‘벽사’(辟邪)의 의미로 등장한다. 이런 생각은 중국에서 시작되었고 한국과 일본에 전파되어, 동아시아가 공유하는 호랑이의 주요 덕목이 되어 현재까지 지속되었다.

 호랑이 신화와 설화가 많았던 한국의 미술에서는 신통력을 지닌 기백 있는 영물(靈物)로, 또 해학적이면서도 인간미 넘치는 친구로 등장했다. 맹호도에서부터 호작도(虎鵲圖)와 같은 희화화(戲畫化)된 호랑이 민화(民畫)가 크게 사랑받았다. 반면, 호랑이가 서식하지 않았던 일본의 경우, 선종(禪宗) 사원으로 유입된 중국 송대(宋代, 960~1279) 용호도(龍虎圖)의 영향으로 용호도 형식이 유행했다. 특히 불교 또는 도교의 존상(尊像)과 용, 호랑이를 결합시킨 3폭의 용호도는 일본 호랑이 미술만의 특징을 보여준다.

 이처럼 같은 다른 한중일 3국의 호랑이를 조명하는 전시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을 기념하기 위해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중국 국가박물관과 공동으로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한국·일본·중국’ 특별전을 1월 26일부터 3월18일까지 개최한다. 삼국의 고대부터 근현대의 미술에 이르기까지 원시신앙과 도교, 불교 관련 호랑이 작품을 비롯하여 생활 속에서 다양한 의미로 변주된 한일중(韓日中)의 회화 38건, 공예 58건, 조각 5건, 직물 4건 등 총 105건, 145점의 전시품을 선보인다.

 특히 한국의 명품인 김홍도(1745~1806?)의 <송하맹호도>(松下猛虎圖), <죽하맹호도>(竹下猛虎圖)를 포함해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맹호도>(猛虎圖) 3점을 한자리에 모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존하는 조선 호랑이 그림 가장 그림인 <용호도>(龍虎圖)도 짝을 이뤄 선보이는 것도 최초다. 용호도는 조선 말 관청의 문비(門扉)나 대청에 붙이는 세화(歲畫)로 추정되는 대형 걸개 그림으로 거침없는 용필과 용묵을 보여주는 걸작이다.

일본의 작품으로는 무가(武家)의 사랑을 받으며 유행했던 용호도의 대표작으로, 소가 조쿠안(曾我直庵, 16세기 말 17세기 초 활동) 가노 미치노부(狩野典信, 1730~1790)의 <용호도>(龍虎圖) 6폭 병풍이 전시된다. 아울러 사생력과 장식성을 갖춘 개성적인 화풍의 마루야마 오쿄(圓山應擧, 1733~1790)의 <호소생풍도>(虎嘯生風圖)도 선보여, 일본 특유의 화려하면서도 장식적인 작품들이 볼 만하다.

 중국 작품으로는 오래된 호랑이 숭배문화를 보여주는 상대(商代)의 옥호(玉虎)를 비롯하여 호랑이 토템을 보여주는 지배층의 무기, 호랑이 도자베개 등의 벽사(辟邪)와 호신(護身)을 기원하는 다양한 공예품이 출품되어 유구한 호랑이 신앙과 미술의 역사를 보여준다.

 전시는 모두 5부로 한국, 일본, 중국의 호랑이 미술과 3국의 걸작 비교, 그리고 동아시아 근현대의 호랑이로 구성된다. 전시의 첫머리인 제1부 ‘한민족의 신화, 한국의 호랑이’는 고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한민족의 호랑이에 대한 신앙과 외경심이 표출되었던 고분미술의 백호(白虎)와, 불교미술의 산신(山神)과 나한을 묘사한 작품, 군자(君子)와 벽사(辟邪)의 상징으로 그려진 회화 등의 작품들을 소개한다.

 제2부인 ‘무용(武勇)과 불법(佛法)의 수호자, 일본의 호랑이’에서는 무로마치시대(室町時代, 1336~1573) 이후 선종(禪宗) 사찰과 무가(武家)의 후원으로 유행하였던 용호도(龍虎圖)와 무용(武勇)과 길상의 의미로 호랑이가 장식된 무기와 복식, 도자기, 장신구를 만날 수 있다.

 제3부인 ‘벽사(辟邪)의 신수(神獸), 중국의 호랑이’에는 사신(四神)과 십이지(十二支)와 같이 수호자로서의 호랑이 개념이 성립되었던 중국 고대의 작품들과 이세탁(李世倬, 1687~1771)의 손가락으로 그린 호랑이, 옹동화(翁同龢, 1830~1904)의 서예작품 등이 전시된다.

 제4부인 ‘백중지세(伯仲之勢), 한일중 호랑이 미술의 걸작’에서는 한국 조선의 <용맹한 호랑이>(猛虎圖)와 일본 에도시대(1603-1868)의 <유마용호도>(維摩龍虎圖), 중국 상나라의 <호랑이 장식 꺾창>(靑銅虎首形內戈)이 전시되어 3국의 호랑이 미술의 특징을 대표작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전시의 마지막인 제5부 ‘전통(傳統)과 변주(變奏), 동아시아 근현대의 호랑이’는 호랑이 미술의 전통을 계승하거나 근·현대 문화 속에서 호랑이를 새롭게 해석한 근현 작품을 보여준다.

 이번 전시회는 특히 ·일·중 3국의 대표작들을 동시에 관람할 있는 기회인 만큼, 동아시아권 호랑이 미술의 전반적인 흐름을 살펴볼 있는 좋은 기회가 것으로 .  

 한·일·중 국립박물관이 국립박물관장 회의와 연계하여 2014년부터 2년마다 전시를 공동개최해왔으며, 이번이 세 번째 특별전이다. 이번 전시와 관련하여 보이는 ‘한·일·중’이라는 표현은 전시 개최국을 맨 앞에, 다음 개최국을 두 번째, 그 다음 개최국을 세 번째로 표기하기로 한 세 국립박물관의 결정에 따랐다.

 

국립중앙박물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www. museum.go.kr

+82-2-2077-9000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