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82세 일기로 별세한 가야금 명인 황병기

       82세 일기로 별세한 가야금 명인 황병기

 

지난 66년 동안 하루도 가야금 연습을 거르지 않았던 명인이 영원한 안식에 들었다. 가야금 명인 황병기 이화여대 명예교수가 1월 31일 오전 지병으로 별세했다. 향년 82세. 그의 명성은 국악을  번도  들었어도 황병기란 이름  자는 들어봤다 말로 요약된다.
1936년 서울에서 태어난 고() 황병기 명인은 경기고와 서울대 법과대 법학과를 졸업한 수재였다. 그는 중학교 3학년 때인 1951년 6·25전쟁 부산 피란 시절에 가야금과 처음 만났다. 영혼이 빨려 들어가는 느낌이 들 정도로 아름다운 소리에 반해 가야금을 배우게만 해주면 더 열심히 공부하겠다고 부모님을 설득해 시작했다. 고등학교 시절 국립국악원에서 가야금 명인 김영윤, 김윤덕, 심상건을 사사했다. 대학 2학년 때 KBS 주최 전국 국악 콩쿠르에서 1등을 해 음악계의 주목을 받았다.

 

  

       고인은 1974년부터 이화여대 음대 한국음악과 교수로 활동했다. 1985년부터 1986년까지 미국 하버드대에서 객원교수로 지냈으며 1986년 뉴욕 카네기홀에서 가야금 독주회를 열기도 했다. 2001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겸임교수로 활동했다. 2006년부터 2011년까지 국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도 맡았다.

국악 창작 활동에도 매진한 고인은 1975년 명동국립극장에서 발표한 대표작 <미궁>을 비롯해 신라음악을 되살린 <침향무>, 신라 고분에서 발견된 페르시아 유리그릇에서 영감을 얻은 <비단길> 등 약 60년 가까운 창작활동을 해왔다. 
1960년대 미국 뉴욕에서 미디어 아티스트 백남준과 함께 비디오와 음악을 혼합한 공연을 했고, 서울 명동국립극장에서 현대무용가 홍신자와 공연을 함께하기도 했다. 그뿐만 아니라 첼리스트 장한나, 작곡가 윤이상 등 다른 장르의 예술가들과도 폭넓게 교류한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고인의 마지막 공식 연주는 2017년 9월14일 롯데콘서트홀 열린 국립국악관현악단과의 협연이었다. 그는 이날 공연에서 자신의 대표곡 중 하나인 <침향무>를 직접 연주했다. 글=장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