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폭스바겐의 귀환

       독일 아우디와 폭스바겐이 한국 시장에 돌아온다 브랜드는 배출가스 인증서류 조작 혐의로 2016년 8월 우리나라 정부로부터 인증취소 및 판매정지 처분을 받았었다. 사실상 국내 시장에서 퇴출당한 지 1년6개월 만이다.

판매 시동은 아우디코리아가 먼저 걸었다. 아우디코리아는 지난해 11월 ‘더 뉴 R8 V10 플러스 쿠페’로 국내 시장 복귀를 알린 데 이어 지난 8일 환경부의 인증취소 및 판매정지 명령에 따라 평택항에 묶여 있던 2017년식 'A7 50 TDI 프리미엄' 146대를 20%가량 할인된 가격에 판매했다. 차량은 모두 판매된 상태다.

현재 평택항의 출고  차량점검(PDI)센터에 남아있는 아우디폭스바겐 차량은 2700여  수준이다. 환경부가 당시 32개 차종, 8만3000대에 대한 인증을 취소하면서 아우디폭스바겐 차량 2만대가 평택항에 그대로 방치됐으나 10여차례에 걸쳐 1만7000여 대가 독일로 반송됐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가 2700여대의 차량과 관련해 정확한 모델명과 연식은 공개하지 않고 있으나 아우디코리아는 ‘A4’, ‘A6’ 등 다른 모델에 대해서도 인증이 완료되는 대로 판매한다는 방침이다.

 

  

       폭스바겐코리아는 다음  1일 중형 세단 ‘파사트 GT’를 시작으로 공식 판매 재개에 나선다. 서울 대치동 전시장에서 출시 관련 행사도 갖는다.

서울을 중심으로  폭스바겐코리아 공식 딜러사들에 따르면 상반기 출시 예정인 신형 티구안과 아테온에 대한 사전예약은 이미 이뤄지고 있다. 환경부 인증을 마친 상태로 차량 제원 등은 딜러사를 통해 이미 공유되고 있다. 상반기 내 공식 출시가 예상된다.

본격적인 영업 재개 소식이 들려오자 기존 차량 구매자들 사이에선 불만 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최대 1200만원을 보상하는 미국과 달리 1인당 100만원에 불과한 차량 관리 바우처만 제공한 보상책은 여전히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기자 강지현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