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문재인 대통령 방중 분석] 중국 문재인 대통령 국빈 대접 소홀?

 

문재인 대통령 방중 일정이 13일 시작된 가운데 우리 매체들이 중국의 문 대통령 대접 소홀을 지적했습니다. 시진핑习近平주석이 국빈 방문일에 수도를 비운 일, 문 대통령 공항 접견 인사의 급이 낮다는 문제 등이 지적됐습니다.
사실 중국 관영 매체들의 관련 보도 내용만 보면, 좀 서운한 점은 분명히 있습니다. 
모두 오늘 오전 8시 40분 현재 인터넷 메인 페이지입니다.
먼저 런민르바오人民日报입니다. 

 

 

아 관련 기사가 없네요. 바로 밑이 그날 속보입니다. 오전 7시까지 속보 난 맨 아래 기사로 있었는데, 오전 8시 그마저 빠졌네요. 

다음은 신화新华통신입니다.

 

 

음 역시 없네요. 그래도 신화통신인데 싶어 아래 포커스 뉴스난을 보니 정말 그나마 다행히 가장 머리기사로 자리를 차지하고 있네요.
장가오리张高丽 전 상무위원과 함께 한중 기업가 모임에 참석했다는 기사입니다. 

 

 

파란색으로 눈에 띄게 편집했네요. ㅋ 음 장가오리면 평소 동정만 주요 기사 목록에 오르는 인물인데 ….  

 

그럼 중궈신원왕中国新闻网은 어떨까요? 중국에서 가장 많은 뉴스를 다룬다고 자부하는 곳입니다.
아무리 찾아도 없네요. 

 

 

 

아무리 찾아도 없네요. 분명히 관영 매체들 간 모종의 협의가 있지 않았나 의심이 들 정도입니다.
중국에서 민족주의 시각으로 외교 문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환추스바오环球时报를 보시죠.

 

 

시 주석 다음 기사로 다뤘는데, 재미있는 사설 밑에 소식을 다뤘네요. 사설 제목이 "문재인 방문, 한국 매체 이제 그만 자국을 향해 자살골을 차지 마라"네요.  

 

대략 살펴보니, 격이 낮다고, 한중 정상회담 공동 발표문이 없다고 하는 건 자살골을 차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비판했네요. 
중국도 아쉽다. 그러나 사드 문제는 분명히 해결되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음. 미국의 둬웨이多维는 "왜 문재인 대통령은 중국에 고개를 숙일까?"라는 제목으로 분석 기사를 냈네요. 이번 방중의 성과로 한중 관계가 바로 좋아지기는 힘들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바로 좋아지기 힘들 것이라는 분석은 환추스바오 사설과 비슷한 결론이군요. 다만 환추스바오는 이번 성과는 개선으로 가는 과정으로 의미가 있다고 부가했습니다. 한국 매체들이 바로 너무 큰 것을 바란다는 지적과 함께요.
오늘 한중 정상회담 참 조심스럽게 지켜봅니다.
해동이었습니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