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판사판》

        Ⓒ SBS


     

이판사판

 

 

 

20171122일 방영을 시작한 tvn 수목드라마 <이판사판>

 

 

 

 

 

 

 

 대한민국 최초로 판사들의 삶을 다룬 판사드라마가 나왔다.

 

 

 

 <이판사판>은 법원 내 자타공인 꼴통판사이정주(박은빈)와 엘리트 판사 사의현(연우진)의 이판사판 기싸움을 중심으로 하는 법정 드라마이다. 제목 그대로 이판사와 사판사의 이야기인 것이다. 거기에 로맨스, 스릴러 등 여러 가지 장르를 복합 시켜 감각적이면서도 흥미로운 볼거리를 선사한다.

 

 

 

 그간 법정 드라마는 많았다. 주인공의 직업이 검사나 변호사인 드라마도 많았다. 하지만 법원을 중심으로 판사들과 법원 내 직원들의 삶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춘 드라마는 없었다. 사법고시에 합격한 뒤 들어간 사법연수원에서도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둬야만 될 수 있다는 판사, 그 판사들사이의 치열한 기싸움과, 인간이기에 마주할 수밖에 없는 판사들의 고뇌와 갈등, 애환을 담아냈다는 점에서 지금껏 만나보지 못했던 드라마가 탄생할 조짐이 보인다.

 

 

 

 특히 한 두 배우의 변신 역시 화제이다. 이정주 역할을 맡은 박은빈은 최근 jtbc 드라마 <청춘시대>에서 엉뚱하지만 생각 깊은 송지원 역할을 맡아 아역시절부터 쌓아온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이번 드라마에서는 데뷔 후 처음으로 전문직 역할에 도전하여 연기 변신에 나선다. 연우진은 올해 출연했던 드라마 <내성적인 보스>, <7일의 왕비>를 비롯해 다수의 로맨스 드라마에서 활약하며멜로 장인이라는 수식어를 얻은 바 있다. 다정하고 달달한 이미지로 호평을 얻었던 연우진은 <이판사판>에서 정의감에 불타는 엘리트 판사 사의현으로 등장하여 전작과는 다른 모습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렇듯 두 배우의 색다른 변신을 지켜보는 것 역시 이 드라마의 관전포인트이다.

 

 

 

 극의 무게중심을 잡고 있는 중견 배우 김해숙은 <이판사판>의 매력으로 반전을 꼽았다. 김해숙은이 작품 안에는 검사와 변호사의 이야기와는 또 다른 드라마가 있다. 판사들의 이야기를 따라가는 다큐가 아니기에 반전도 있고 범인을 찾아내는 재미, 배우들의 로맨스 모두 들어 있다. 챙겨보는 재미가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