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공 경제’
중국 당국은 이 경제 생태계를 중국을 중심으로 한 거대한 글로벌 생태계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일단 중국 내수 시장에서 ‘저공 경제’ 생태계가 자리 잡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무엇보다 현 단계에서 중국 당국은 관련 기술의 확보에 가장 큰 힘을 쏟고 있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국가 전략 과학기술의 신고지로서, 중국 당국은 저공경제가 일반항공 산업을 근간으로 하고 드론, eVTOL, 공중·지상·우주 통합 정보망 등 신기술을 융합하며 인간의 공간 활용 방식을 점차 재구성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 같은 판단 위에 전략적 관점에서 저공경제는 국가 발전 공간의 확장 및 신형 생산력 육성에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는 게 중국 당국의 판단이다.
중국 매체들은 “드론 기술의 발전 수준은 한 국가의 기술 경쟁력을 측정하는 새로운 척도로 부상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사실 드론은 산업 생태계로서 뿐만이 아니다. 군사 안보 분야에서 드론의 역할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단순히 생각해서 드론 물류망 구축에 필요한 정밀 지도는 이미 각국이 철저한 보안 대상으로 삼고 있는 안보 자산이다.
현재 세계 주요 경제국들은 기술 혁신을 중심으로 저공경제 과학기술 발전에 차별화된 경로를 형성해왔다.
영국은 도시 내 드론 비행 제한을 완화하고, 초시야 비행(비가시권 비행) 실험을 허용했다. 미국, 독일, 일본 등은 공중 교통 운영 및 관리 연구를 추진하며, 스마트시티와의 융합을 도모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각국은 정부와 기업 간 협력을 중시하며, 수직 이착륙 공항, 공중 교통 관리 등 인프라 분야에 투자를 확대하고 도시 이동, 농업 물류, 응급 구조 등 응용 영역을 넓히고 있다. 또 자금 지원, 인재 육성, 글로벌 협력을 통해 저공경제의 기술 개발과 산업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은 일단 드론의 제작은 물론, 배터리 분야에서 우수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미국의 드론 제작이 중국 업체의 부품없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이 최근 미중 관세전에서 새롭게 드러나 주목받은 바 있다.
이 같은 기술의 자신감에서 드론을 통한 ‘저공 경제’ 생태계 구축도 중국이 가장 먼저 개념화하고 구체화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매체들은 자신 있게 선언한다.
“최근 몇 년간 중국은 저공경제 분야에서 급부상하며 세계 저공경제 발전의 주요한 축으로 부상했고, 고속 성장을 실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