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올 1~9월 홍콩 방문객 40% 가까이 급증 ... 한국인 관광객이 급증한 덕

‘홍콩이 망해가고 있다고?’

중국 정부의 강한 간섭에 홍콩의 자치권이 흔들리면서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자유무역의 상징인 동방의 진주 홍콩이 몰락하고 있다는 평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우려는 기우라는 게 중국 당국의 입장이다.

이를 증명하듯 최근 중국 당국은 올 1~3분기 홍콩 방문객이 전년보다 무려 40% 가량 급증했다고 밝혔다.

동방의 진주 홍콩의 명성이 되살아나고 있다는 방증이라는 것이다.

11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1~3분기 약 3,258.9만 명이 홍콩을 방문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약 39.7% 증가한 수치다. 이 중 본토 방문객은 2,523.6만 명으로 약 35.1% 늘었다.

지난 9월에만 306만 명이 홍콩을 방문했다. 전년 동기 대비 10.5% 는 수치다. 그중 약 절반이 숙박 여행객이었다. 본토 방문객은 229만 명이었다.

자료에 따르면, 1분기~3분기 동안 단거리 지역(본토와 마카오 제외) 방문객 중 한국 방문객이 가장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한국인 59.2만 명이 홍콩을 찾았다. 전년 동기 대비 약 171.3% 늘었다. 한국에서는 올 들어 홍콩은 물론 일본과 베트남 등 동남아 각국을 찾는 게 여행의 일상이 됐다는 평이 나왔을 정도로 해외 여행이 호황을 누렸다.

한국 내 물가 상승이 한국 관광객들을 해외로 내몰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지적이다.

장거리 시장에서는 프랑스 방문객이 9.37만 명으로 약 73.6% 증가했다. 새로운 시장 중에서는 러시아 방문객이 8.45만 명으로 전년 대비 153.1% 증가해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홍콩관광발전국 펑야오자 회장은 다양한 고객 시장을 개척하여 홍콩 관광산업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홍콩 특색을 살린 다양한 관광 프로젝트를 개발·홍보하고 전 지역의 미식 가이드를 제작하여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관광 홍보를 확대할 예정이었다. 또한, 우수 서비스 포상 제도를 도입해 홍콩의 친절한 환대 정신을 홍보하고 방문객의 현지 체험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