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개도 가족은 챙기는디, 개보다 못한 게 국회의원이유.

 

에효

 

멍~.

기운이 없시유. 개도 할 말 없는 세상을 만드는 게 참. 거 뭐라 해야 허나. 참 거시기 해유.

뭔 이야기유?

한국 정치 이야기지유. 뭔 얘기겄어유.

 

웃지못할 코메디지유. 콧 방귀나 뀌지유.

 

세상은 참 넓고 할 일도 많은 데, 한국 정치권 꼬라지를 보셔유.

매일 서로 헐뜯는데 시간을 보내지유.

 

매일 황당한 기록을 세우는 한국 국회여유.

현재 국회 본회의 문턱을 넘은 법안은 6개에 불과해유. 이마저도 여야 합의 처리가 아니지유. 해병대원 특검법과 방송4법, 민생위기특별법이 본회의 문턱을 넘어슈.

그냥 넘은 게 아니라 더불어민주당 단독으로 밀어붙였구먼유.

 

그런데, 해병대원 특검법은 재표결 끝에 폐기됐고, 방송4법과 민생위기특별법도 윤석열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가 유력해유.

 

이 누무 국회는 야당은 의석수를 무기로 역점 법안을 밀어붙이고, 대통령은 거부권을 행사해 무력화하는 행태가 특허여, 특허.

아주 ‘도돌이 국회’라고 불려유. 역사에 기록될겨. 도돌이 국회

이름도 참 잘 졌구먼유.

 

그런데 이러는 사이 우리 자영업자는 어쩌유. 당장 전세값을 오르고, 장사는 안돼 문을 닫는 자영업자 수가 역대 최대치여. 최대치.

 

이 누무 경제는 부익부 빈익빈이 심화돼 이제는 평균이 의미가 없는디, 정부 관료라는 개대가리보다 못한 것들이 평균치로 경제가 좋아진다고만 하고 있는겨.

 

아니 올 상반기 임금체불만 1조436억원이여, 무려 15만여명의 근로자들이 일해주고도 돈을 받지 못한겨. 그래도 뭐라고 못혀유. 체불한 사업장은 오죽 하겄슈.

당장 지난 2023년 폐업을 자영업자가 무려 98만6487명이유. 가게 문 닫았는데, 직원 월급을 어찌 챙겨주남유.

 

서민들은 겨우 카드빚으로 살고 있지유. 실제 신한·삼성 등 9개 카드사 카드론 잔액 40조원 넘어 이 역시 역대 최고치유.

 

그런데도 이놈의 정쟁은 끝이 없이 서로 극으로만 달리고 있쥬. 백성들이 벼랑 끝에 몰려 나죽어도 국회 어느 놈도 ‘나 몰라라’ 여유. 어찌 그려유. 나라가 망하면 국회의원이 무슨 소용이 있남유.

제발 부디 정신 좀 차려유.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