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밤도깨비》

     

Ⓒ JTBC


   

 

밤도깨비

 

2017년 7월 30일 방영을 시작한 JTBC 일요 예능 프로그램

 

 유쾌한 ‘밤도깨비’들이 전국 방방 곡곡을 돌아다니며 흥을 전한다.

 <밤도깨비>는 JTBC가 야심차게 준비한 일요 저녁 예능이다. ‘밤에 잠을 자지 않고 엉뚱한 짓을 일삼는 사람’을 일컫는 <밤도깨비>라는 제목처럼 밤을 지새워 미션을 수행한다. 매주 전국의 ‘핫’한 장소에 찾아가 상품, 먹거리를 얻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출연진의 여정을 담았다.

 <밤도깨비>에 관한 설명만 보자면 ‘유명한 곳에 가서 줄 서는 것’이 예능 프로그램에 나올 만한 일인가 싶기도 하다. 이 프로그램을 ‘예능’으로 만드는 것은 출연진들이다. 이수근, 정형돈, 박성광, 이홍기, 김종현으로 구성된 출연진이 각각의 장점을 이용하여 밋밋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특별하게 꾸며간다.

 이수근은 <아는 형님>이나 <신서유기>에서 보여준 것처럼 ‘B급 정서’의 예능 프로그램에 특화되어 있다. 틀이 없는 프로그램에서 특유의 재치와 순발력을 발휘한다. 정형돈의 장점은 ‘뻔한 웃음’을 만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른 사람이 미처 읽어내지 못하는 부분에서 웃음을 찾아낸다. 박성광은 이른바 ‘대박’을 만들어낸다. 한 번 웃기면 정말 크게 웃기는 것이다. 이홍기는 에너지가 넘치고 리액션이 좋다. 김종현 같은 경우 화제성을 갖고 있다. <프로듀스101>에서 화제 인물이기도 했고, ‘인생역전 중고신인’이라는 스토리도 있다. <프로듀스101>에서 ‘엄마’라고 불렸던 것처럼 이 프로그램에서도 형들을 배려하며 자신의 역할을 해낸다.

 <밤도깨비>의 탄생에는 JTBC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었다. <썰전>, <냉장고를 부탁해>, <비정상회8담> 등을 통해 새로운 예능 왕국으로 발돋움한 JTBC는 하반기 개편을 통해 일요일 밤 예능 라인업을 강화했다. 오후 5~8시, 프라임 타임에 <밤도깨비>를 런칭한 것도 그러한 개편 전략 중 하나이다. <런닝맨>이나 <복면가왕>, <1박 2일>과 같은 지상파 간판 예능에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밤도깨비>는 구성이나 출연진에 있어 다른 일요 저녁 예능에 비해 화려하지 않다. 하지만 제작진은 자신감을 내비쳤다. <밤도깨비>를 연출한 이지선 PD는 “해외 여행을 가서 새로운 풍광과 문화를 접해야만 성장하고 배우는 것이 아니다. 과도한 판타지보다 공감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일상적으로 가까운 곳에서의 행복, 즐거움, 웃음을 주고 싶다”고 밝혔다.

 

글 = 이동경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