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Exo power

      

 

 

너의 미래는 바로 상상에 달렸어

두려움 따윈 버려 우린 그래도 돼

모든 열쇤 너에게 있는데 


잠들지 않아도 꿈꾸던 널

잊지 않기를 바래 바래 


오늘 우리 함께 신나게 한번 불태워볼까

꼭 하나 된 Feeling feeling kkock hana doen Feeling feeling

So turn me up


We got that power power 

  

  

 엑소가 긍정 ‘파워’로 자신의 존재감을 입증했다. 엑소가 ‘파워’로 한달 여 만에 돌아왔다. 이번에는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메시지를 담았다. 

 엑소의 긍정 ‘파워’는 차트에서도 주효했다. 엑소는 지난 9월 5일 정규 4집 리패키지 앨범 <더 워: 더 파워 오브 뮤직(THE WAR: The Power of Music)>을 발표했고, 공개 직후 타이틀 곡 ‘파워’를 포함한 수록 곡 전부가 차트 상위권을 점령했다. 

 ‘글로벌 아이돌’ 엑소인 만큼 해외 반응도 무척 뜨거웠다. 엑소는 이번 앨범으로 칠레, 덴마크, 핀란드 등 아이튠즈 종합앨범차트에서 25개국 1위를 달성했다. 또 미국, 캐나다, 일본 등에서 2위를 차지하는 등 아시아를 넘어 유럽, 북남미까지 엑소의 존재감을 확고하게 보여줬다. 

 ‘파워’는 EDM(전자댄스음악)장르의 곡이다. 여름을 맞아 EDM장르의 곡들이 수도 없이 쏟아졌지만 엑소는 자신들만의 스타일로 EDM을 재해석했다. 신디 사운드와 드럼 비트는 다이나믹하고 강한 에너지를 전달한다. 엑소의 트레이드 마크라고 할 수 있는 중독성 있는 후렴구 역시 빠트리지 않았다. 특히 ’power’는 긍정적인 가사가 돋보이는 곡이다. ‘같이 한 목소리로 노래할 때 더 강해지는 걸’과 같은 가사에서 팬들과 함께하겠다는 의지를 엿볼 수 있다. 

 한편 엑소는 리패키지 앨범을 통해 팀 고유의 서사를 구체화시켰다. 엑소는 데뷔 때부터 12명의 엑소 멤버가 ‘엑소 플래닛’이라는 외행성에서 왔으며, 각각 초능력을 지녔고 그 능력은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서사를 전개해왔다. 하지만 구성원에 변화가 생기면서 이러한 스토리 구조가 흔들리게 되었다. 

 엑소는 팀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다시 초능력 콘셉트를 들고 왔다. ‘파워’의 뮤직비디오는 멤버 별 초능력을 시각화하여 보여준다. SM의 기획력과 기술력이 집결된 뮤직비디오는 이후 엑소가 전개해 나갈 이야기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글 = 이동경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