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Exo power

      

 

 

너의 미래는 바로 상상에 달렸어

두려움 따윈 버려 우린 그래도 돼

모든 열쇤 너에게 있는데 


잠들지 않아도 꿈꾸던 널

잊지 않기를 바래 바래 


오늘 우리 함께 신나게 한번 불태워볼까

꼭 하나 된 Feeling feeling kkock hana doen Feeling feeling

So turn me up


We got that power power 

  

  

 엑소가 긍정 ‘파워’로 자신의 존재감을 입증했다. 엑소가 ‘파워’로 한달 여 만에 돌아왔다. 이번에는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메시지를 담았다. 

 엑소의 긍정 ‘파워’는 차트에서도 주효했다. 엑소는 지난 9월 5일 정규 4집 리패키지 앨범 <더 워: 더 파워 오브 뮤직(THE WAR: The Power of Music)>을 발표했고, 공개 직후 타이틀 곡 ‘파워’를 포함한 수록 곡 전부가 차트 상위권을 점령했다. 

 ‘글로벌 아이돌’ 엑소인 만큼 해외 반응도 무척 뜨거웠다. 엑소는 이번 앨범으로 칠레, 덴마크, 핀란드 등 아이튠즈 종합앨범차트에서 25개국 1위를 달성했다. 또 미국, 캐나다, 일본 등에서 2위를 차지하는 등 아시아를 넘어 유럽, 북남미까지 엑소의 존재감을 확고하게 보여줬다. 

 ‘파워’는 EDM(전자댄스음악)장르의 곡이다. 여름을 맞아 EDM장르의 곡들이 수도 없이 쏟아졌지만 엑소는 자신들만의 스타일로 EDM을 재해석했다. 신디 사운드와 드럼 비트는 다이나믹하고 강한 에너지를 전달한다. 엑소의 트레이드 마크라고 할 수 있는 중독성 있는 후렴구 역시 빠트리지 않았다. 특히 ’power’는 긍정적인 가사가 돋보이는 곡이다. ‘같이 한 목소리로 노래할 때 더 강해지는 걸’과 같은 가사에서 팬들과 함께하겠다는 의지를 엿볼 수 있다. 

 한편 엑소는 리패키지 앨범을 통해 팀 고유의 서사를 구체화시켰다. 엑소는 데뷔 때부터 12명의 엑소 멤버가 ‘엑소 플래닛’이라는 외행성에서 왔으며, 각각 초능력을 지녔고 그 능력은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서사를 전개해왔다. 하지만 구성원에 변화가 생기면서 이러한 스토리 구조가 흔들리게 되었다. 

 엑소는 팀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다시 초능력 콘셉트를 들고 왔다. ‘파워’의 뮤직비디오는 멤버 별 초능력을 시각화하여 보여준다. SM의 기획력과 기술력이 집결된 뮤직비디오는 이후 엑소가 전개해 나갈 이야기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글 = 이동경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