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식품업계 식물성 육류 관심↑…”돼지열병 때문”

美 식품업체까지 뛰어들어

중국에서 아프리카 돼지열병으로 인해 돼지고깃값이 급등하자, 식물성 육류가 대체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19일 미국 경제방송 CNBC은 아프리카 돼지열병과 미중 무역분쟁으로 돼지고깃값이 오른 후, 최근 중국에서 스타트업과 전통 식품 사업자 등이 육류를 대체하는 ‘식물성 고기 산업’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의 식물성 고기 생산업체 임파서블 푸드와 비욘드 미트 등은 중국 시장 확대를 노리며, 딤섬과 월병 등을 만들던 중국 현지 업체들과 열띤 경쟁을 벌이고 있다.

중국 현지에서는 식품 스타트업인 전미트(Zhenmeat, 珍肉), 한국 신세계 쇼핑몰의 `짝퉁' 논란을 일으켰던 스타필드, 전통 음식 제조업체 치산(齊善·호울 퍼펙트 푸드) 등이 새로운 식물성 고기를 만들고 있다.

 

한편 햄 생산업체인 ‘진쯔햄’은 지난 10월 식물성 단백질을 이용해 만든 고기를 판매한다고 발표한 후 주가가 50% 오름세를 보였다. 중국의 MYS그룹 또한 식물성 고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혀 화제다.

 

채식주의 불교도들을 위한 식품 업체 ‘치산’은 최근 완두콩 단백질을 이용한 고기를 넣은 월병을 만들어, 미국 기업 비욘드 미트의 대항마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 회사는 엔타이의 국수 생산업체 솽타(雙塔)식품과 고기완자, 딤섬 등을 만들어내고 있다.

 

시장 조사기관인 유로모니터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식물성 제품을 포함한 중국의 식물성 고기 생산은 33.5% 급증한 97억달러를 넘었으며, 2023년까지 119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임파서블 푸드는 “중국이 첫 번째 해외 공략 시장이 될 것”이라면서 “자사의 임파서블 버거를 중국인의 입맛에 맞게 제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회사 관계자는 이달 상하이 수입박람회에서 식물성 고기를 사용한 자사의 `임파서블 라이온즈 헤드 딤섬 수프'가 큰 인기였다며, 현재 다양한 식품들을 개발 중이라고 전했다.

 

다른 경쟁업체 비욘드 미트의 관계자는 “완두콩으로 만든 고기를 넣어 중국인들의 인기 음식인 딤섬을 만들 계획”이라면서 “내년까지 아시아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