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은행 앱 하나로 모든 은행계좌 손쉽게 조회한다”

이달 11일부터 시범 운영 예정돼

 

 

다음주부터 자주 사용하는 은행 모바일뱅킹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자기 이름으로 된 모든 은행계좌를 손쉽게 조회할 수 있게 된다.

 

금융결제원은 8일 은행권 계좌정보 일괄 조회 시스템인 계좌통합관리(어카운트 인포) 서비스를 일반 시중은행 뱅킹 앱으로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11일부터 농협, 신한, 우리, 기업, 국민, 하나, 전북 등 7개 시중은행이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며, 대구은행은 이달 29일, 나머지 은행은 내달 17일부터 서비스가 제공될 계획이다.

 

‘계좌통합관리 서비스’란 인터넷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 등에서 본인 계좌 현황을 한눈에 조회 할 수 있는 서비스로, 2016년 말 처음 시행됐다. 별도로 계좌통합관리 앱을 설치하거나 홈페이지를 방문할 필요 없이, 기존에 자주 사용하는 은행 뱅킹 앱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금융결제원 측은 “일반 은행 앱에서 계좌통합관리 서비스가 제공되면, 최근 시범운영을 시작한 ‘오픈뱅킹’의 이용도 한층 편리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30일부터 시범운영에 들어간 오픈뱅킹은, 은행 앱 하나만으로 다른 은행 계좌의 조회·이체 업무까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그러나 타 은행의 계좌를 등록할 때 자동조회가 이뤄지지 않고 계좌번호를 직접 입력해야 해 이용에 불편함이 있다는 지적이 제시된 바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