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장사 내년 실적 올해보다 26%↑ 예상돼

순이익 29%•영업이익 26% 상승 예상

내년 국내 주요 기업의 수익성이 올해보다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3곳 이상이 실적 전망치를 낸 주요 상장사 279곳의 내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165조7천919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131조616억 원)보다 26% 증가한 수치이다.

 

증권사들의 조사에 따르면 내년 순이익은 올해(94조5555억 원)보다 29.2% 상승한 122조2천247억 원으로 예상된다.

내년 매출액은 올해(1천881조9천521억 원)보다 5.8% 늘어난 2천30조8천344억 원이 될 전망이다.

 

조사 대상 상장사 279곳 가운데 255곳은 내년 영업이익이 올해보다 늘거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예정이다. 내년 영업이익이 올해보다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 상장사는 24곳에 불과했다.

 

종목별로 내년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전망치는 37조2천711억 원으로 올해보다 35.7% 늘어나고 순이익은 33.1% 늘어난 29조2천913억 원으로 예상됐다.

 

SK하이닉스의 경우 내년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6조7천587억 원, 5조1천267억 원으로 올해보다 각각 134.3%, 112.9%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이 밖에 현대차의 영업이익은 4조7천670억 원, 네이버 1조732억 원, LG화학 1조9천396억 원, 셀트리온 5천785억 원으로 전망됐다.

 

올해 이들 279곳 상장사의 올해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작년보다 각각 26.7%, 27.9%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매출액은 약 2% 증가하는 데 그칠 예정이다.

다만 주요 상장사의 올해 4분기 실적은 대체로 호전될 것으로 보여 주요 기업 실적이 이미 바닥을 쳤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에프앤가이드의 조사에 따르면 증권사 3곳 이상의 실적 전망치가 있는 주요 상장사 250곳의 올해 4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29조9천929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와 비교하면 5% 올랐다. 순이익은 33.9% 상승한 21조6천487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진우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내년 코스피 순이익은 100조원대로 복귀할 가능성이 높다. 실적 턴어라운드의 시작"이라며 "지연됐던 경기 사이클이 회복하고 이익 레벨이 복원되면서 약세 트렌드를 벗어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내년 코스피 순이익은 올해보다 17% 증가한 102조원으로 전망한다"며 "기업이익 증가는 반도체 업황 호전과 기업들의 이익률 개선이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지난 2년간 둔화했던 투자 사이클이 반등하면 반도체 수요가 회복되고, 낮은 원자재가격이 유지되면서 기업들의 이익률도 차츰 개선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내년에도 후반기로 갈수록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도 커지고 있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수출 둔화 폭 축소에 따른 기업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면서도 "기저효과에 의해 수출 증가율은 개선되나 실적 증가는 미미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2020년 한국 증시는 실적 바닥론이 이어지며 연초에는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나, 하반기로 갈수록 경기 둔화 우려 및 글로벌 정치 불확실성이 불거지며 변동성 확대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석탄도시로 유명했던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 경제 관광 도시로 변신에 성공해 중국에서 화제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문화

더보기
[영 베이징] '관광+ 문화' 융합 속에 베이징 곳곳이 반로환동 변신 1.
‘문화유적 속에 열리는 여름 팝음악 콘서트, 젊음이 넘치는 거리마다 즐비한 먹거리와 쇼핑 코너들’ 바로 베이징 시청취와 둥청취의 모습이다. 유적과 새로운 문화활동이 어울리면서 이 두 지역에는 새로운 상권이 형성됐다. 바로 관광과 문화 융합의 결과라는 게 베이징시 당국의 판단이다. 중국 매체들 역시 시의 놀라운 변화를 새롭게 조망하고 나섰다. 베이징완바오 등 중국 매체들은 앞다퉈 두 지역을 찾아 르뽀를 쓰고 있다. “평일에도 베이징 시청구 중해 다지항과 동성구의 룽푸스(隆福寺) 상권은 많은 방문객을 불러모았다. 다지항의 문화재 보호와 재생, 룽푸스의 노포 브랜드 혁신이 시민과 관광객에게 새로운 소비 경험을 제공했다. 그뿐 아니라, 올여름 열풍을 일으킨 콘서트가 여러 지역의 문화·상업·관광 소비를 크게 끌어올렸다.” 베이징완바오 기사의 한 대목이다. 실제 중국 각 지역이 문화 관광 융합을 통해 ‘환골탈퇴’의 변신을 하고 있다. 베이징시 문화관광국 자원개발처장 장징은 올해 상반기 베이징에서 ‘공연+관광’의 파급 효과가 뚜렷했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대형 공연은 102회 열렸고, 매출은 15억 위안(약 2,934억 6,000만 원)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