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미 관계는 서로 존중하는 데서 발전한다."

인민일보, 26일자 종성 사설에서

"중미 관계는 서로 존중하는 데서 발전한다."

 

인민일보 역시 26일 종성 사설을 통해 마이클 펜스 미 부통령의 발언을 비판했다.

미국이 중국을 존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정말 요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집권이래 미국의 태도를 보면 망나니도 이런 망나니가 없다.

하지만 그래도 중국의 이 같은 말에는 찬성하기 힘들다.

너희는 그럼 남을 존중하고 있느냐?고 묻고 싶다.

인민일보는 펜스의 발언은 “계속 무역 마찰이 있어야 경제 발전에 득이 된다는 소리와 같다”고 지적했다. 황당하다고까지 평했다.

그러면서 “중미 관계의 발전은 서로 존중하는 데 있다”고 강조했다.

다시 한 번 인민일보에 묻고 싶다.

"방어 무기 사드는 반대는 분명히 내정간섭 아니던가? 그 것을 문제 삼아 경제 보복을 하는 것은 이웃국을 존중하는 태도가 맞는가?"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