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순수 외국 자본으로만 된 은행 설립 정식 허가

외자보험관리조례도 함께 공포… 외자 보험사에 대한 규제 한층 완화돼

중국이 외국 자본 100% 은행 설립을 허용하면서 금융시장 개방을 본격화하고 있다. 시티그룹이 증권사 설립을 계획하면서 외국계 거대 은행들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중국 국무원은 15일 '외자은행관리조례'를 수정, 외국 자본으로만 된 ‘외자 독자 지분 은행’이 설립되는 것을 정식 허가했다. 앞서 중국은 금융시장을 개방하기 위해 은행업 지분 제한을 완전히 폐지하겠다는 방침을 드러낸 바 있다.

 

또한, 中 국무원은 이날 개정된 '외자보험관리조례'도 함께 발표했다. 기존 조례에서는 외국 자본의 보험사가 중국에서 영업하려면 해외에서 30년 이상 영업한 이력과, 중국에서 2년 이상 대표처를 운영해야 한다는 조항이 존재했다. 새로운 조례는 이러한 기존 조례의 조항을 삭제할 뿐만 아니라 외자 보험사에 대한 규제를 전체적으로 완화하는 내용을 포함했다.

 

최근 중국이 여러 금융 업종에서 외국 회사들에 대한 규제를 점진적으로 완화시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은 무역전쟁 상대인 미국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중 하나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과거 미국이 중국을 향해 '금융 시장을 폐쇄적으로 운영한다'는 비난을 가했던 것을 의식했다는 분석이다.

 

한편, 미국 경제 전문지 블룸버그 통신은 시티그룹이 외국 독자 지분을 가진 증권사를 중국에 설립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도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