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국‧캐나다인 60% 중국에 부정적

러시아‧나이지리아‧레바논 긍정 평가 높아

미국인 10명 가운데 6명이 중국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반면 러시아인의 71%는 중국에 대해 호감을 표시했다.

 

중국공산당 정권 수립 70주년을 앞두고 미국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Pew Research Center)가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 32개국 중 러시아인은 중국에 대해 71%가 긍정적으로 보았지만 미국과 캐나다는 각각 60%, 67%가 중국을 부정적으로 봤다.

 

이 조사는 2019년 5월 13일부터 8월 29일까지 3만4904명을 방문해 "현재 중국에 긍정적입니까, 부정적입니까?“라는 물음에 대답하도록 요청하였다.

 

조사 결과 세계무대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눈에 띄게 높아졌다고 생각하는 나라가 다수지만 그렇다고 중국에 호감을 갖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는 32개국 중 중국을 가장 많이 긍정적으로 보는 나라로 꼽혔고, 71%는 중국을 긍정적으로 보고, 18%만 부정적으로 봤다.

 

이어 나이지리아(70%는 긍정적, 17%는 부정적), 레바논(68%는 긍정적, 22%는 부정적), 이스라엘(66%는 긍정적, 25%는 부정적), 튀니지(63%는 긍정적, 16%는 부정적) 순이었다.

 

전반적으로 서구의 대다수 국가들은 중국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다. 그리스는 51%가 중국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반면, 서유럽 국가들의 다수는 중국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으며 스페인의 53%에서 스웨덴의 70%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이후 조사 대상 서구 국가 절반 가까이에서 중국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율도 스웨덴(17%포인트 하락)과 네덜란드(11%포인트 하락), 영국(11%포인트 하락) 등의 국가에서는 두 자릿수로 떨어졌다. 그 중 그리스와 이탈리아 두 나라만 중국의 시각을 바꿨다.

 

중국에 대한 부정적 시각은 미국과 캐나다가 앞도적이었다. 60%의 캐나다인과 67%의 미국인은 중국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두 나라 모두 이 센터 여론조사상 중국에 가장 부정적인 기록이다. 미국은 26%가 중국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고 캐나다는 27%다.

 

캐나다에서 중국 통신업계의 거두인 멍완저우(孟晚舟) 화웨이 최고재무책임자가 체포돼 중국·캐나다의 긴장이 고조되자, 캐나다인들이 중국을 부정적으로 보는 비율이 22%나 늘었다.

 

중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인접국 대다수로부터도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85% 일본 사람들은  중국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가지고 있어 모든 조사 대상 국가 중 가장 높았고, 14%에 불과한 일본사람이 긍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다. 한국(63%), 호주(57%), 필리핀(54%)의 절반이 넘는 응답자가 중국을 부정적으로 봤다.

 

조사에 응한 중동과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의 대다수 또는 다수가 중국에 호감을 갖고 있으며 남아프리카의 46% 낮은 호감도에서부터 나이지리아의 70%에 이르는 높은 호감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