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일본과 경제 협력 강화

종산 상무부장 “시장 진입 완화 지속”

종산(钟山) 중국 상무부 부장은 10일에 중국을 방문한 일본 경제계 대표단을 만나 양국 경제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우리 한국에 경제 보복 조치를 한 일본은 친중 행보를 빠르게 가속화하고 있다.

과연 일본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줄타기를 얼마나 잘할 수 있을까? 주목된다.

10일 중국 신문망에 따르면 종산 상부부장은 베이징에서 중일경제회회장인 소가오카쇼오지(宗冈正二), 일본상공회의소 장관 미무라아키오(三村明夫), 일본경제단체연합회 의원장 후루가노부유키(古贺信行)가 이끄는 대표단과 만났다. 재계 대표단와 중국 양측은 간담회를 더욱 확대 개방하여, 중·일 협력 조치 및 시장 경제와 무역 협력, 제3자다 사장 협력, 다자 간 무역 체제 유지 등 의견을 교환했다.

 

종산 부장은 “중·일 경제무역 협력은 상호보완성이 강하고, 발전 잠재력이 크고 전망이 넓다”며 “양국 정상이 합의한 합의를 잘 실천해 경제무역 협력이 기존 기반 위에서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종산 부장은 "중국 경제가 전반적으로 안정돼 있고 소비 규모가 커지고 있고, 소비 증가세가 빨라 중일 무역과 투자 확대에 유리한 여건을 조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측이 향후 추가적으로 시장 진입 완화하여 더 많은 일본 상품을 수입하고 일본과도 계속 양방향 투자 협력을 강화하는 의향을 보여주었다.

 

중국 통계에 따르면 중일의 2019년 1~8월 양자 무역액은 1조3900억위안(1위안약 0.14달러)으로 전년 동기 대비 0.7% 증가해 같은 기간 중국 전체 무역의 6.9%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일본에 대한 중국 수출 6358억1000만위안에 달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