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K-푸드페어, 상해서 개최 예정 '농식품 수출 확대 노린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한국 식품을 중국 현지 바이어와 소비자에게 홍보하고 수출 판로를 확대하기 위해 이달 14일까지 상하이 홍차오 힐튼 호텔 및 동방명주에서 ‘2019 상해 K 푸드페어(Food Fair)’를 개최한다.

 

농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이번 상하이 한국식품박람회에서는 한국 농식품의 인지도를 높이고 중국 10대 전략품목의 수출 성장세를 한층 가속화하기 위해 현지 바이어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행사를 진행한다"고 8일 전했다.

 

K 푸드페어는 수출 상담회(B2B)와 소비자 체험 행사(B2C)가 결합된 통합 마케팅 행사다. 농식품부는 이번 행사를 시작으로 프랑스(6월), 미국(7월), 태국(9월) 등 총 7개국에서 8회에 걸쳐 실시할 계획으로 전해졌다.

 

농식품부는 한국 농식품의 인지도를 높이고, 인삼·화훼·유자차·유제품·쌀·삼계탕·김치·포도·장류 등 대(對)중국 10대 전략품목의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현지 바이어, 소비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행사를 제공한다.

 

9일부터 10일까지 홍차오 힐튼호텔에서 한국 수출업체의 현지 판로 개척을 위한 수출 상담회가 개최된다. 상담회에는 농식품 수출업체 48개사와 중화권 우수 바이어 103개사가 참여해 1:1로 수출 상담을 진행할 예정이다. 9일 오전에는 수출업체를 대상으로 수출통관 유의사항 및 비관세장벽, 상표권 제도 정보 등 중국 시장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세미나를 진행한다.

 

또 행사장에는 라벨링, 비관세장벽 등을 상담해주는 ‘현지화 사업 상담관’ 및 대 중국 전략 품목, 수출 성장 가능성이 높지만 영세성 등으로 본격적인 수출에 이르지 못한 유망상품인 미래클(Miracle) 품목들을 전시하는 ‘특별 홍보관’ 등도 자리할 예정이다.

 

한국 농식품의 우수성과 안전성을 알리기 위한 소비자 체험 행사도 열려 현지 소비자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예정이다. 동방명주에서는 해외 관광객 및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삼계탕·홍삼요리 등 한국 식품 시연·시식 행사 및 유명 요리사(스타셰프)의 특색 메뉴 제공, 바나나우유·홍삼드링크 등 인기 수출품목 전시회 등도 함께해 즐거움을 더욱 높일 것이라 기대된다.

 

싱콩광장에서는 ‘허마센셩’의 유통매장 담당자와 수출업체, 소비자들이 참여하여 품평회, 요리 시연회(쿠킹클래스) 등 각종 체험 행사가 진행된다. 허마센셩(盒马鲜生)은 알리바바가 운영하는 신선식품 매장으로 매장에서 식품을 시식·체험 후 이를 모바일앱으로 주문하면 집으로 배송되는 O2O(Online-To-Offline) 새로운 형태의 유통매장으로 눈길을 끌고 있다.

 

농식품부는 이밖에 한국 농식품의 현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28일까지 한 달간 중국 전역에서 대대적인 판촉전(‘한국 식품 주간’)을 연다. 판촉전에는 ‘JUSCO’, ‘RT 마트’ 등 현지 대형 유통매장 및 ‘허마센셩’ 등 O2O 매장 약 211개소가 참여해 우리 농식품의 인지도를 높이고 소비 저변을 확대할 계획으로 밝혔다.

 

오병석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은 "중국 농식품 수출의 성공 열쇠는 우리 농식품의 안전성과 높은 품질을 중국 현지에 잘 알리는 것에 있다"며 "이번 상해 K-Food Fair를 통해 중국 바이어와 소비자들에게 우리 농식품의 우수성이 널리 알려져 수출 확대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