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떠나자! 우주와 가장 가까운 곳으로

한때 미지의 땅으로 생각했던 우주. 하지만 더 이상 우주는 베일에 싸인 곳이 아니다. 우주 체험을 향한 인류의 도전이 계속되고 있고 우리나라 역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지난해 11, 우리나라 독자 기술로 개발하고 있는 누리호의 시험발사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며 우주개발이 궤도에 오르고 있다. 우주 여행을 떠나지 않더라도 우주를 체험할 수 있는 곳으로 떠나보자.

 



@한국관광공사

 

우리나라 최초 위성 발사장, 나로우주센터 우주과학관

우리나라 기술력으로 만들어진 우리나라 최초 위성 발사장인 나로우주센터 우주과학관은 우주과학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전시와 체험이 가능한 곳이다. 로켓, 인공위성, 우주에서의 생활에 대해 전문적인 교육과 영상을 통한 체험을 할 수 있다. 전시의 경우 우주의 기본원리, 로켓, 인공위성, 우주탐사, 달 탐사 등은 상설 전시를 운영하고 있다. 야외 전시장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KSR 과학 관측 로켓과 우주발사체 나로호의 실물크기 모형, 태양전지 등을 만날 수 있다. 주말에는 나로호 만들기, 풍선로켓 만들기 등 직접 참여 가능한 우주과학교실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우주과학을 쉽게 접할 수 있는 다채로운 시설이 준비되어 있어 우주과학 관련 교육과 체험학습이 가능하다.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하반로 490

+82 61-830-8700

http://www.narospacecenter.kr




@한국관광공사

 

아시아 최대규모, 제주항공우주박물관

제주항공우주박물관은 최첨단 기술과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신개념 에듀테인먼트 시설을 표방한다. 내용과 규모면에서 아시아 최대로 꼽히는 제주항공우주박물관엔 볼거리와 체험거리가 가득하다. 지하 1, 지상 3층 규모에 전망대 시설까지 갖춘 제주항공우주박물관은 크게 항공역사관, 천문우주관, 테마존 3개 전시관으로 구성된다. 야외 공간에는 실제 운항했던 비행기들이 전시되어 있다. 천문우주관에서는 실제처럼 재현한 우주정거장 모듈, 인공위성의 내부와 나라별 우주 음식 등을 볼 수 있다. 테마존에 있는 5D영상관에선 입체 영상과 특수효과로 바로 눈앞에서 벌어지는 것 같은 우주여행을 체험할 수 있다. 박물관 전망대에 오르면 제주의 자연과 만나게 된다. 가파도와 마라도부터 한라산까지 모두 감상할 수 있다.

 

서귀포시 안덕면 녹차분재로 218

+82 64-798-5500

http://www.jdc-jam.com 



@한국관광공사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박물관

전문교육기관이 설립하고 운영하는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박물관은 항공우주과학 분야에 대한 국내·외 역사적 자료 전시는 물론이고 과학 기술과 원리를 상세하고 체계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청소년과 일반인들에게 항공우주 과학 기술에 대한 이해를 보급하고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해 한국항공대학교의 전문가들이 콘텐츠 개발에 참여했다. 1층 전시관에서는 비행시뮬레이터 가상체험은 물론이고 다양한 매체를 통해 비행의 원리를 설명하고 항공우주 산업을 소개한다. 항공기 실물과 모형이 전시되어 있어 항공기의 구조 이해를 돕는다. 2층은 미래우주시대를 이미지 패널, 실물과 모형 등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공간이다.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항공대학로 76

+82 2-300-0467

http://www.aerospacemuseum.or.kr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