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 "대법원의 징용배상 판결과 관련해 보상에 대한 책임은 한국 정부에 있다"

@뉴스원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이 한국 대법원의 징용배상 판결과 관련해 보상에 대한 책임은 한국 정부에 있다고 주장했다.


NHK 따르면 고노 외무상은 지난 3 가나가와현 지가사키시에서 열린 거리 연설에서 "일본은 이번 판결을 받아들일 없다"면서 "일본은 한국에 모두 필요한 돈을 냈으니 한국 정부가 책임지고 (징용피해자에게) 보상해야 한다" 밝혔다.


그는 "1965 체결된 한일청구권 협정은 한국 정부가 책임지고 한국 국민에게 보상과 배상을 한다는 결정이었다" "일본 정부는 사람 사람의 개인을 보상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 정부에 그만큼의 돈을 경제협력으로 건넸다" 말했다. 이어 "당시 한국의 연간 국가 예산이 3 달러이던 때에 일본은 5 달러를 한국에 일괄적으로 건넸다" "이것이 현재까지 한일 약속의 가장 기본이 됐다" 강조했다. 또한 고노 외무상은 이번 대법원 판결에 대해서도 "한일관계를 뒤흔드는 듯한 사건이 됐다" 덧붙였다.


앞서 지난달 30 우리 대법원은 2014 사망한 여운택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4명이 일본 신일본제철( 신일철주금) 상대로 손해배상청구 소송 재상고심에서 원고 승소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 당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국제법에 비춰볼 있을 없는 판단"이라며 "한일청구권 협정으로 (청구권 문제는)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됐다" 주장했다.


한편 한일 청구권 협정에는 '일본은 한국에 10년에 걸쳐 무상 3 달러와 유상 2 달러를 제공한다', '양국과 국민의 재산·권리 이익과 청구권에 관한 문제가 완전히 그리고 최종적으로 해결된 것을 확인한다' 내용이 담겨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