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부산 18일째 열대야 현상 지속…400여 농가 60만 마리 가축 폐사 피해 속출

 

ⓒnews1



부산 18일째 열대야 현상 지속…400여 농가 60만 마리 가축 폐사 피해 속출


폭염 속에 한국이 들끓고 있다.
지난 4일 현재 부산에 18일째 열대야 현상이 이어졌다. 부산지방기상청에 따르면 밤새 최저기온이 중구 대청동 관측소 기준 27.2도를 기록했다.
해안가에 접한 남구, 해운대 등지 밤사이 기온은 29도에 육박, 시민들은 쉽게 잠을 이루지 못했다.당일 낮 최고기온이 34도까지 올랐다.광주·전남 지역은 역시 24일째 폭염이 이어졌다.
광주지방기상청은 이날 낮 최고기온이 광주 38도를 비롯해 담양·구례·곡성 37, 순천 36, 목포 34도 등 불볕더위가 계속될 것으로 예보했다.
폭염 피해도 이어져 이날 현재 289(3명 사망)의 온열 환자가 발생했다.
351 농가 594000여 마리의 닭·오리·돼지 등이 폐사해 235000만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여기에 인삼·수박·고추 등 총 73.2ha의 밭작물이 폭염 피해를 본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폭염은 좀처럼 수그러들 기세가 아니다. 610일에도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찌는 듯한 폭염이 예고됐다.한국 기상청은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으로 대체로 맑은 날이 이어지는 가운데 기온은 평년(최저기온 2024, 최고기온 2732)보다 높고 강수량은 평년(417mm)보다 적겠다”고 밝혔다.


필자 이미지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