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레드벨벳 Bad boy

 4월 1 오후 북한 평양에 위치한 동평양대극장에서 남북 평화협력 기원 남측 예술단 평양공연 열렸다. 3일에는 평양 류경정주영체육관에서 남북 예술단의 합동 공연이 있었다. 북에서도 인기가 많다는 조용필, 이선희, 최진희, 백지영 쟁쟁한 가수들이 대거 공연단에 이름을 올렸지만 가장 화제를 모은 것은 바로 한국 대표 걸그룹 레드벨벳이었다.  

 레드벨벳이 선택한 곡은 최신 앨범 타이틀 ‘Bad boy’. ‘Bad boy’ 힙합 기반의 R&B 댄스곡으로 그루비한 신스 Synth 멜로디에 무게감 있는 베이스 사운드가 더해져 강한 중독성을 갖고 있다. 올해 1 발표 당시 한국에서는 물론 미국 음반 시장에서도 좋은 성적을 보여 화제를 모았다. 빌보드는 레드벨벳이 R&B 완벽하게 장식한 ‘Bad boy’ 발표하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레드벨벳의 정규 2 앨범 <The Perfect Red Velvet> 집중조명한 있다. 

 

 

 

 

 평양에서 펼쳐진 레드벨벳의 공연에 이목이 집중된 것은 레드벨벳의 무대가 북측이 그리도 꺼리던 자본주의 날라리  자체이기 때문이다. 은근히 드러나는 섹시코드, 각선미를 드러낸 의상, 심장을 두드리는 묵직하고 빠른 비트가 그러하다. 가부장적 기조가 강하게 남아있는 북측에게는 가사 역시 파격적이다. 가사는 제목과는 달리 나쁜 남자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오히려 자신에게 무심한 표정과 관심 없는 말투로 대하는 남성을 유혹하는 여성의 이야기다. “내가 이겼어”, “bad boy down”이라는 가사에서는 팔을 들어 아래를 가리키는 안무를 선보이기도 한다. 

 

 

 2002년에도 베이비복스, 신화가 평양에서 공연한 있지만 당시 관객들의 반응은 경직되어 있었다. 반응은 10 전과는 달랐다. 평양 관객들은 무대를 마치고 숨을 고르는 레드벨벳에게 박수를 건넸다. 멤버 웬디는 반응이 없어도 최선을 다하자고 했는데 관객들이 호응을 많이 해주셨다 소감을 밝혔다. 멤버 슬기는 마지막에 선배님들과 같이 노래를 부르는 북측 분들도 같이 부르더라 같이 부르는데 우리가 한민족이라는게 느껴져서 눈물이 났던 같다 덧붙였다. 

 

 

 

 

 

혼란스런 맘이겠지 상상조차 못할 거야

 

 

honlanseuleon mam-igetji sangsangjocha mothal geoya
헤어나려 노력해도 어떤 작은 틈도 없어 

 

 

heeonalyeo nolyeoghaedo eotteon jag-eun teumdo eobs-eo
정답은 정해져 있어 자연스럽게 따라와

 

 

jeongdab-eun jeonghaejyeo iss-eo jayeonseuleobge neon ttalawa
선택해 선택했어 이미

 

 

nan neol seontaeghae nan neol seontaeghaess-eo imi
홀린 따라와 모두 환호해 말했지 

 

 

hollin deut nal ttalawa modu hwanhohae malhaessji
결관 항상 같아 거봐 내가 이겼어

 

 

gyeolgwan hangsang gat-a geobwa naega tto igyeoss-eo
너무 쉽겐 오지  재미없잖아 이제  

 

 

neomu swibgen oji ma jaemieobsjanh-a ije neon Ooh ooh
벗어날 없어 내겐 쉽지

 

 

Bad boy down beos-eonal su eobs-eo naegen swibji Bad boy down

 

 

 

기자 이동경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