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키스 먼저 할까요?

 인생 좀 살아본 어른들의 멜로가 4·50대 애청자를 기반으로 월화드라마 1위 자리를 수성했다.   

 SBS 월화드라마 <키스 먼저 할까요?>는 40대 ‘돌싱’ 남녀의 연애와 애환을 묘사하고 있다. 중년의 서툰 사랑 이야기는 솔직하고 경쾌하다. 성인용품이 흐림 처리돼 화면에 등장하고 나이 오십의 남자가 모텔에서 샌님처럼 굴자 여자는 “자랑이다 나이 오십에”라는 일갈을 날린다. 야한 분위기와 대사가 눈살이 찌푸려지는 것이 아니라 너무 현실적이라 코믹하기까지 하다. 

 

 

 ⒸSBS

 

 

 하지만 그게 다는 아니다. 반백년을 살아온 이들의 세월이 밑바닥에 깔려있다. 배우자에게 배신당해 무너졌던 두 남녀 주인공은 사실 이성에 대한 뜨거운 열정이나 호기심이 바닥난 상태다. 심지어 남자주인공은 시한부 판정을 받았고, 여자 주인공은 이혼한 전 남편이 진 사채 빚 때문에 곧 신장을 팔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에 몰렸다. 

 극에 화룡점정을 찍은 것은 바로 배우들의 명연기다. 감우성은 탁월한 연기력으로 남자 주인공 손무한의 감정을 깊이 있게 담았다. 덤덤해 보이는 눈빛과 목소리는 보는 사람을 더 먹먹하게 한다. 김선아의 연기 내공 역시 못지않다. 김선아는 <내 이름은 김삼순>의 김삼순부터 최근작 <품위 있는 그녀>의 박복자까지 다양한 캐릭터를 소화해낸 바 있다. 이번 작품에서도 감정의 폭을 절묘하게 조율하며 순진하면서도 성숙한 안순진의 매력을 다채롭게 표현하고 있다.   

 과거 중년의 사랑은 젊은 주인공들 이야기의 곁가지로 취급되거나 수동적인 모습으로 그려졌다. 하지만 최근 중년의 사랑이 인기 소재로 떠오르고 있다. <키스 먼저 할까요?>를 선두로 현재 방영 중인 Jtbc <미스티>, MBC <손 꼭 잡고 지는 석양을 바라보자> 역시 중년의 사랑이 중심을 이루는 드라마다. 이러한 트렌드는 중년층 시청자들의 힘이다. 온라인 플랫폼으로 영상 콘텐츠를 소비하는 10대, 20대와는 달리 중년 시청자들은 TV로 본방송을 시청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흔히 말하는 것처럼 ‘살만큼 살아본’ 사람들의 이야기이기에 더 깊은 감정폭을 담아낼 수 있고, 경륜 있는 배우들이 연기한다는 점 역시 인기 비결이다. 

이동경 기자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