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키스 먼저 할까요?

 인생 좀 살아본 어른들의 멜로가 4·50대 애청자를 기반으로 월화드라마 1위 자리를 수성했다.   

 SBS 월화드라마 <키스 먼저 할까요?>는 40대 ‘돌싱’ 남녀의 연애와 애환을 묘사하고 있다. 중년의 서툰 사랑 이야기는 솔직하고 경쾌하다. 성인용품이 흐림 처리돼 화면에 등장하고 나이 오십의 남자가 모텔에서 샌님처럼 굴자 여자는 “자랑이다 나이 오십에”라는 일갈을 날린다. 야한 분위기와 대사가 눈살이 찌푸려지는 것이 아니라 너무 현실적이라 코믹하기까지 하다. 

 

 

 ⒸSBS

 

 

 하지만 그게 다는 아니다. 반백년을 살아온 이들의 세월이 밑바닥에 깔려있다. 배우자에게 배신당해 무너졌던 두 남녀 주인공은 사실 이성에 대한 뜨거운 열정이나 호기심이 바닥난 상태다. 심지어 남자주인공은 시한부 판정을 받았고, 여자 주인공은 이혼한 전 남편이 진 사채 빚 때문에 곧 신장을 팔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에 몰렸다. 

 극에 화룡점정을 찍은 것은 바로 배우들의 명연기다. 감우성은 탁월한 연기력으로 남자 주인공 손무한의 감정을 깊이 있게 담았다. 덤덤해 보이는 눈빛과 목소리는 보는 사람을 더 먹먹하게 한다. 김선아의 연기 내공 역시 못지않다. 김선아는 <내 이름은 김삼순>의 김삼순부터 최근작 <품위 있는 그녀>의 박복자까지 다양한 캐릭터를 소화해낸 바 있다. 이번 작품에서도 감정의 폭을 절묘하게 조율하며 순진하면서도 성숙한 안순진의 매력을 다채롭게 표현하고 있다.   

 과거 중년의 사랑은 젊은 주인공들 이야기의 곁가지로 취급되거나 수동적인 모습으로 그려졌다. 하지만 최근 중년의 사랑이 인기 소재로 떠오르고 있다. <키스 먼저 할까요?>를 선두로 현재 방영 중인 Jtbc <미스티>, MBC <손 꼭 잡고 지는 석양을 바라보자> 역시 중년의 사랑이 중심을 이루는 드라마다. 이러한 트렌드는 중년층 시청자들의 힘이다. 온라인 플랫폼으로 영상 콘텐츠를 소비하는 10대, 20대와는 달리 중년 시청자들은 TV로 본방송을 시청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흔히 말하는 것처럼 ‘살만큼 살아본’ 사람들의 이야기이기에 더 깊은 감정폭을 담아낼 수 있고, 경륜 있는 배우들이 연기한다는 점 역시 인기 비결이다. 

이동경 기자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