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봄의 전령사, 뷰티·패션 모델 뉴페이스 3인——박서준, 이동욱, 유연석

        시즌을 앞두고 남성 패션·뷰티 브랜드들의 얼굴 바뀌고 있다. 이번 시즌은 특히  포티’, ‘그루밍족’  젊게 보이게 자신을 꾸미려는 남성들의 증가에 발맞춰 광고계의 블루칩으로 주목받는 차세대 스타들로 전속 모델을 교체하며 이미지 쇄신에 힘쓰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의 라네즈는 tvN 예능 프로그램 <윤식당2> 훈훈한 만능 알바생으로 주목받고 있는 배우 박서준을 전속모델로 발탁했다. 라네즈 측은 박서준의 밝고 건강한 이미지가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 라네즈와 부합한다고 전했다. 박서준이 홍보하는 라네즈 옴므 블루에너지 라인은 미네랄 성분의 해양 심층수를 함유한 수분 안티에이징 제품이다. LF의 스포츠웨어 브랜드 질스튜어트 스포츠 전속모델이기도 한 박서준은 또한 최근 2018 년 봄·여름(S/S) 시즌 화보를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이번 화보를 통해 박서준은 트레이닝복, 후드티셔츠, 야구점퍼  자신이 일상에서 즐겨 입는 스타일의 의상들과 신발들로 남친룩 자연스럽게 완성하는  편안하면서도 세련된 느낌을 연출했다.

 

박서준

 

       박서준은 지난해 드라마 <쌈, 마이웨이>와 영화 <청년경찰> 등 통해 활발한 활동을 해왔다. 현재는 방송 중인 <윤식당2>에서 훈훈한 외모와 성실한 성품을 지닌 아르바이트생으로 활약하며 시청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남성복 브랜드 브루노바피는 올해 브랜드의  얼굴로 배우 이동욱을 발탁했다브루노바피는 새로운 모델 이동욱과 함께 기존의 모델 정우성의 클래식하고 젠틀한 남성적 이미지를 이어가는 동시에 한층  젊고 스타일리시한 스타일의 남성복 패션을 제안할 계획이다. 브루노바피 관계자는 “동욱의 도시적이면서 부드럽고 섬세한 이미지와 브랜드 정체성이  맞아  모델로 선정했다. 올 봄 시즌부터 선보이는 포멀 웨어와 비즈니스 캐주얼 라인에서 이동욱의 젊고 스타일리시한 감성을 담아낼 계획”라고 전했다.

 

이동욱 

       이동욱은 현대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홍보대사로 위촉돼 다양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조만간 JTBC 새 드라마 <라이프>(가제)의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 전문의 예진우 역으로 시청자들을 만날 예정이다.

‘밀키보이’ 유연석은 스포츠브랜드 ‘르까프’의 새 얼굴로 낙점됐다. 르까프는 지난 10여 년 동안 장르와 캐릭터에 국한되지 않고 영화, 드라마, 뮤지컬은 물론, 사진작가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끊임없이 성장하고 있는 유연석의 모습이 브랜드가 지향하고 있는 이미지와 적합하다고 판단했다고 전했다.

 

유연석


       르까프 측은 “르까프만의 진정성을 표현하는데 가장 적합한 모델이라고 판단했다. 보다 역동적이고 활기찬 브랜드 이미지를 발산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르까프는 유연석과 함께 러닝, 워킹 등 스포츠 라인의 제품과 가치를 알리고 생활 스포츠 리딩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다질 수 있는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지난해 SBS 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 뮤지컬 <헤드윅>으로 활동한 유연석은 올해 방영 예정인 tvN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 출연을 확정했다.


기자 이동경 사진출처 news1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