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중 속담 비교] 말이 씨가 된다 一语成谶

 

"一语成谶"는 말이 사실이 되는걸 가리키는데 많은 경우 안좋은 의미로 쓰인다. 
“一语成谶”是指说出的话成为了事实,多指不吉利的事情。
예전부터 중국에서는 함부로 말하는것을 금기시하였다. 그래서 많은 속담들이 "一语成谶"와 관계가 있다. 
中国人从古至今对于这种“乌鸦嘴”的行为相当忌讳,因此与“一语成谶”相似的俗语非常多,
예를 들어 "화는 입에서 나온다", "밥은 마구 먹어도 되지만, 말은 함부로 해서는 안된다" 등이 있다.
比如“祸从口出”、“饭可以乱吃,话不能乱讲”等等。
어렸을 때, 부주의로 불길한 말을 하면, 어머니는 나에게 "퉤퉤퉤"라고 말하게 했다. 내가 이 말을 뱉어낸다는 의미이다. 
小时候若是不小心说了一些不吉利的话,妈妈便会叫我“呸呸呸”三声,意思是我把这句话吐掉了。

 

 

吉利
jílì
길하다
乌鸦嘴
wūyāzuǐ
까마귀주둥이, 방정맞은 입
忌讳
jìhuì
금기하다. 꺼리다. 기피하다

 

 

불길한 말을 함부로 하지 않는 것은, 이미 하나의 불문율처럼 되었다. 
不可以乱说不吉利的话,仿佛已经成为一种不成文的习俗。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추락사고에서도 "一语成谶"와 관련된 일화가 있다. 
在马航客机MH17坠机事故中也有关于“一语成谶”的故事。
한 네덜란드 남자가 탑승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비행기의 사진을 올리며 "만약 내가 사라지면 그 비행기는 이렇게 생겼어"라고 했다. 
一名荷兰男子在登机前拍下马航客机的照片上传到FACEBOOK,并说道:“如果这架飞机出事了,它长这样!”
아니나다를까 비행기는 정말 사고가 나고 말았다. 
果不其然,飞机真的发生了事故。
사실 이런 것들은 전부 일종의 미신으로 어떤 과학적 근거도 없다. 
虽然这一切都只是一种迷信,并没有什么科学依据。
하지만 모두가 마음속으로 좋은 것을 기대하고 불행을 막고 싶어하기 때문에 이렇게 말할 것이다. 
但是我想大家总是内心期盼美好,拒绝不幸,才会有这种说法吧。

 

 

不成文
bùchéngwén
불문율의
坠机事故
zhuìjīshìgù
비행기 추락 사고
果不其然
guǒbuqírán
과연. 아니나다를까

 

 


 

 

한국에도 비슷한 속담이 있다. ——"말이 씨가 된다", 직역하면 하는 말이 심는 씨가 된다는 말이다. 
韩国也有相似的俗语——“말이 씨가 된다”,这句话直译的意思是,话语成了种子。
이 뜻을 넓게 해석하면 "一语成谶"와 매우 비슷해지는데, 무심결에 한 말이 현실이 되었다는 말을 가리킨다. 
延伸意与“一语成谶”非常相似,是指无心说出的话最终成为了现实。
하지만 약간의 차이는 있다. 그 속담은 안좋은일만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좋은일이 생겼을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 
但是也有些许的差异,它不仅仅指不好的事情,也代指好事发生的时候。
안 좋은 말을 해서 안 좋은 일이 생긴다면, 이 때 "말이 씨가 된다"와 "一语成谶"의 의미는 완전히 같다. 
说不好的话会发生不好的事情,这时,“말이 씨가 된다”与“一语成谶”的意思相同。
하지만 좋은 일이 생겼을때 사람들은 "말이 씨가 된다"를 축복하는 말로 사용한다. 
但用于会发生好的事情时,人们有时会将“말이 씨가 된다”作为祝福的话语来用,
매일 좋은 말을 해서 계속 좋은 일이 일어났으면 좋겠다는 말이다. 
希望每天说的好话最后都可以成真。
하지만 결국 의미는 같다. 불길한 말을 적게 하라는 것이다. 
但归根到底,道理还是一样的,少说丧气话。

 

 

成真
chéngzhēn
이루어지다
归根到底
guīgēndàodǐ
근본으로 돌아가다. 결국. 끝내
丧气话
sàngqihuà
불길한 말. 재수가 없는 말

 

번역=최현승 (崔炫承) (gustmd1113@hanmail.net)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