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행동의 선악은 때에 달렸고, 일의 선악은 성과가 가른다

최고의 선은

선의 크기에 있지 않다.

 

아무리 작은 행위라도

선함을 잊지 않고

항상 실천할 때

그게 바로 최고의 선인 것이다.

 

그런 선은

물과 같다.

 

항상 먼저 스스로

낮은 곳에 임한다.

 

높은 곳에서

스스로

내려와 저 아래 바다를 채운다.

 

내려오면서

산과 들의 나무와 곡식에

양분을 줘 열매를 맺고

향기를 나게 하지만,

 

물은 스스로의 공이라 하지 않는다.

꽃이

나무가

스스로 자랐다 하도록 한다.

 

그리고 물을 머물지 않고

저 아래 바다로

흐르길 멈추지 않는다.

 

흐르며

모든 빈 곳을 채운다.

웅덩이의 크고

작음을 나누지 않고

웅덩이가 세모이건

네모이건

가리지 않는다.

 

물은 그렇게

모두 채우고

채우고 나서야

다시 흐른다.

 

세상의 온갖

더러운 곳을

깨끗이 한다.

 

흙탕물이 되건

오염수가 되건

마다함이 없다.

 

바위를 만나면

싸우지 않고

피해 가지만,

결국 그 바위에

구멍을 내는 게

바로 물이다.

 

그렇게 흘러

흘러 채운 바다는

깊고 또 깊다.

 

그래서 우린

물은 항상 선하다하는 것이다.

 

세모 컵에 담기면

세모 컵 모양이 되고,

네모 컵에 담기면

네모 컵 모양이 되고

그렇게

모양은 수천 수만가지로

바뀌지만

 

물은 그 본질은

항상 변함이 없다.

 

항상 먼저 스스로

낮은 곳에 임하며

남을 이롭게 하며

 

공을 세워도

머물지 않으며

자신의 본질

그대로 흐르길 멈추지 않는다.

 

때론 네모가 되고

때론 세모가 되고

때론 약하고

때론 너무도 강한

그렇게 변화무쌍하지만,

 

항상 낮은 곳에

임하며,

나무에 양분을 주기에

물이 항상

선하다 하는 것이다.

 

모양이 변하고

감정이 변해도

그 선함의 본질이

변하지 않기에

물이 항상 선하다하는 것이다.

 

물의 선함이

무엇 때문인지 알면

우린

다른 선함의 본질도 이야기할 수 있게 된다.

 

잘 머무르는 것은

결국 지형에 달렸으며

 

변치 않는 마음은

그 깊이에 있는 것이다.

 

남과 잘 어울리려면

양보를 잘 하면 된다.

 

좋은 말은

지켜지는 말이고,

 

잘 다스리려면

공평해야 한다.

 

일을 잘하려면

능력을 갖추면 되고

 

행동을 잘 하려면

그 때를 알면 되는 것이다.

 

“居善地,心善渊,与善仁,言善信,政善治,事善能,动善时。”

(거선지, 심선연, 여선인, 언선신, 정선치, 사선능, 동선시)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