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Arko美术馆举办2017代表艺术家展览《我所知道的》装置艺术家姜益中


       艺术家姜益中重返与2300名市民一起合作完成的装置艺术品《我所知道的》展示现场。这是他自2010年后时隔7年再次举办个人展。9月22日至11月19日,2017年Arko美术馆代表艺术家展览《姜益中我所知道的》将在首尔大学路Arko美术馆第一、二展示厅内举行。
       22日,姜益中在Arko美术馆举行的记者见面会上表示:“虽然是个人展,但作品并不是独自创作的,而是大概2300名市民共同参与完成的,作品汇集了集体的智慧。市民们把‘我所知道的’用韩文表述出来。”他介绍说,市民们寄来的字句中包含了自省和机智等丰富多样的人生经历。

 

 


       强调“集体智慧”的姜益中表示,“作为艺术家的我,本着‘互相分享互相学习’的理念完成了此类作品”,“但与其说是我主导了整个作品的制作过程,倒不如说是由2300名市民和其他艺术家以及馆长们的集体智慧完成的”。他还补充道,“这种类型的创作是在1997年威尼斯双年展上作为韩国馆代表并获特别奖后一直持续进行的”。
       他收集记录孩子们梦想的画作,以马赛克的形式制作了公共美术装置作品。自1997年威尼斯双年展获得特别奖以来,姜益中创作了《10万个梦想》(1999年,坡州统一东山)和包含120个国家34000片马赛克制成的《神奇的世界》(2001年,联合国总部)。2004年在亚洲最大的人工湖一山湖水公园内,展示了由149个国家共126000幅儿童画制成的《梦之月》,2013年在顺天庭院博览会,145000幅儿童画组成的装置作品《梦之桥》被永久安放在那里。此次个人展由研讨会、艺术夏令营、展示和现场教育等部分组成,是一场大规模艺术教育项目。六月时,姜益中与Arko美术馆一同,以《我所知道的》为主题向市民征集语句。

       此外,姜益中还在美国纽约、华盛顿和韩国首尔以及罗州举行了研讨会,并与其他作家一起举办了为期三天的艺术夏令营。作品征集和研讨会上产生的由市民创作的语句超过了3万句,作家根据这些完成了装置艺术作品。


笔者 张雨 出处 news 1

 

 

 

 

아르코미술관 2017 대표작가전 <내가 아는 것> 개최

설치작가 강익중  


강익중 작가(56)가 시민 2300명과 함께 제작한 설치작품 <내가 아는 것>으로 돌아왔다. 그의 개인전은 2010년 이후 7년 만이다. 2017년 아르코미술관 대표작가전 <강익중 내가 아는 것>을 9월 22일부터 11월19일까지 서울 대학로 아르코미술관 제1,2 전시실에서 개최한다.
강익중 작가는 22일 아르코미술관에서 기자들을 만나 “개인전이지만 혼자 만든 작품이 아니라 시민 약 2300명이 참여해 ‘집단지성’이 만든 작품”이라며 “시민들이 각자 ‘내가 아는 것’을 한글 문장 하나로 표현해 보내왔다”고 했다. 그는 시민들이 보내온 문구에 성찰과 재치 등 삶의 다양한 모습이 담겨 있다고 했다. 

 

‘집단지성’을 강조한 강익중은 "작가인 제가 '서로의 생각을 나누면서 서로 배우자'는 개념을 착안해 처음에 제시했다"며 "그러나 작품 제작 과정은 제가 주도했다기 보다 시민 2300명을 비롯해 동료 작가, 큐레이터들의 집단지성이 작동했다"고 밝혔다. "이런 형식의 작업은 1997년 베니스 비엔날레에 한국관 대표로 참가해 특별상을 받은 직후부터 계속 해왔다"고 덧붙였다.
그는 아이들의 꿈을 담은 그림을 수집해 모자이크 방식으로 공공미술 설치작품을 제작해왔다. 1997년 베니스 비엔날레 특별상 수상 이후 강익중은 <10만의 꿈>(1999, 파주 통일동산)을 비롯해 120개국 3만4000점을 모자이크한 <놀라운 세상>(2001, 유엔 본부)을 제작했다. 2004년 아시아 최대의 인공호수 일산 호수공원엔 149개국 어린이 그림 12만6000점을 모은 <꿈의 달>과 2013년 순천 정원박람회에 어린이 14만5000명의 그림으로 <꿈의 다리>를 영구 설치했다.
이번 개인전은 워크숍, 예술캠프, 전시, 현장교육 등으로 구성한 대규모 예술교육 프로젝트다. 강익중과 아르코미술관은 지난 6월 시민을 대상으로 <내가 아는 것>이란 주제로 한글 문장을 공모했다.
또한 미국 뉴욕과 워싱턴, 한국의 서울과 나주에서 워크숍을 개최하고 작가와 함께하는 3일간의 예술캠프도 열었다. 특히 작품 공모와 워크숍에서 생산된 시민들의 문장은 3만 장이 넘는 대형 설치작품으로 완성됐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