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조 3,200억 위안’ 한화로 약 3,898조 7,984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1~5월 사회소비품 소매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5% 증가한 수치다. 중국의 소비 시장 증가가 중국 당국의 성장 목표치에 부합하는 성장을 한 셈이다. 중국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강력한 소비진작 재정정책을 펼치고 있다. 내수 시장을 살려 중국 경제 성장 동력을 수출에서 수출과 내수의 두개로 늘리겠다는 의도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국가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중국 소비시장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1~5월 사회소비품 소매총액은 20조 3,200억 위안(약 3,898조 7,98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했다. 이 중 5월 한 달간 사회소비품 소매총액은 4조 1,300억 위안(약 792조 4,23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하여, 증가율은 전월 대비 1.3%p 상승했다.중국 매체에 관련 전문가는 “5월 사회소비품 소매총액 증가율이 작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며, “국내 소비 시장의 호조세가 더욱 공고해졌고, 소비 시장의 활력이 가속적으로 분출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국가정보센터 경제예측부 거시경제연구실 부주임인 쑤윈한은
‘16억 4,100만 톤’ 중국의 올 1~5월 국가 철도 화물 운송량이다. 전년동기 보다 3% 이상 늘어난 수치다. 중국의 철도 화물이 늘었다는 것은 그만큼 중국 경제가 제조품을 유통시켰다는 의미다. 여기에 택배 물량까지 더해지면 중국 제조 유통의 증가세를 살펴볼 수 있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국가철도그룹유한회사(약칭 ‘국철그룹’)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중국 철도 화물 운송현황을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올 1~5월 동안 국가철도가 누적으로 화물 16억 4,100만 톤을 운송하여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다. 일평균 차량 적재 수는 18만 1,000대로 전년 대비 4.2% 증가했다고 밝혔다. 중국 매체들은 이는 국내외 이중 순환을 원활히 하고, 국민경제의 안정적인 운영을 보장하는 데 강력한 지원을 제공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국철그룹 화물운송부 관계자는, 대량 물자 수송 보장 측면에서 철도 부문이 신장지역 석탄 외부 운송, 진난 지역 항만 연계 철광석 수송 등 중점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녹색 운송 통로를 개설하고, 필요한 화물은 빠짐없이 적재하여 효율적으로 운송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이로써 전력 수요 절정기
‘6,741억 5천만 위안’ 한화로 약 127조 9,064억 7,950만 원 가량이다. 지난 2024년 중국이 중앙아시아 5개국과 무역거래를 한 총액이다. 10년전인 2013년에 비해 무려 120%에 육박하는 성장세를 보여주는 수치다. 중국은 중앙아시아 5개국을 비롯해 중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지역 경제망을 구축하는 데 적극 나서고 있다. 유럽과 미국, 일본 등을 합친 ‘G7’에 대적한 경제 세력망을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 당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중앙아시아 5개국과의 무역 거래 내역을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중앙아시아 5개국에 대한 수출입 규모는 2013년의 3,120억 4천만 위안에서 2024년에는 6,741억 5천만 위안으로 확대되어 116%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중앙아시아 지역은 ‘일대일로’ 공동 건설의 최초 제안지이자 고품질 ‘일대일로’ 공동 건설의 시범 구역으로서, 우리나라와의 경제무역 교류가 지속적으로 심화되었고, 양자 간 무역 규모도 꾸준히 확대되었다”고 평가했다. 해관 통계에 따르면, 중국과 중앙아시아 5개국과 무역거래 연평균 증가율은 7.3%로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전체 수출입 연평균 증
‘7,488억 위안’ 한화로 약 141조 9,425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1~5월 간 전기통신 업무 수입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1% 정도 성장한 수치다. 중국 전기 통신은 이제 사실상 포화상태임을 보여준다. 다만 그만큼 성숙한 통신 인프라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산업 생태계 재편이 중국에서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본래 통신업은 소위 ‘DX산업’으로 가는 기본 인프라다. 기계와 사람이, 기계와 기계가 센서를 통해 서로 소통하며 제어하는 산업의 제 4혁명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공신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전기통신 산업 실적을 발표했다. 공신부(工信部)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전기통신 업무 수입은 누적 7,488억 위안(약 141조 9,42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다. 전년도 불변 가격으로 계산한 전기통신 업무 총량은 전년 동기 대비 8.6% 증가했다. 5월 말 기준으로, 3대 기초 통신기업의 고정 인터넷 광대역 가입자 수는 총 6억 8200만 가구에 달했으며, 이는 전년도 말보다 1216만 가구 순증한 수치였다. 이 가운데 100Mbps 이상의 접속 속도를 가진 고정 인터넷 광대역 가입자는 6
중국의 1~4월 간 여행 서비스 수출이 80%가량 늘었다. 중국 5000년의 찬란한 문화적 유산이 일궈낸 수치다. 그만큼 많은 외국인들이 중국의 만리장성을, 병마총을 보고자 한다. 모두가 인간의 상상력을 초월한 문화유산들이다. 중국 문화가 가진 저력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상무부는 이 같은 내용의 여행산업 수지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4월 중국의 여행 서비스 수출 79.9% 증가했다. 통계에 따르면, 올해 1~4월 여행 서비스 무역은 계속 빠르게 성장해 수출입 총액이 7,567억 8,000만 위안(약 143조 6,595억 원)으로 14.7% 증가했다. 이 중 수출은 79.9%, 수입은 7.8%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차이나 트래블’의 인기가 식지 않으면서, 점점 더 많은 외국 관광객들이 중국을 방문해 중국을 이해하고 사랑하게 되었다.”고 평했다. 실제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상하이와 쓰촨 청두에서는 전 세계의 시선을 끈 특별한 산업 대회가 열렸다. 74개 국가 및 지역에서 온 3,000여 명의 관광 업계 리더들이 중국 관광 플랫폼 기업의 초청을 받아 단체로 중국을 방문했다. 중국 매체들은 이 현장을 취재해 중국 여행산업에
‘1조 1,285억 2,000만 위안’ 한화로 약 24조 3,969억 원 가량이다. 중국 올 1~4월 서비스 무역 수출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15% 가까이 성장한 수치다. 중국의 산업이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고도화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서비스업 수출현황을 발표했다. 상무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4월 중국 서비스 무역은 비교적 빠른 성장을 유지했다. 서비스 수출은 1조 1,285억 2,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6%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글로벌 무역의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14.6%라는 성장률은 결코 쉽게 이룬 결과가 아니었다.”고 평했다. 또 “현재 '차이나 트래블(中国游)', '차이나 쇼핑(中国购)'의 열기가 계속 뜨거워지고 있으며, 인공지능·클라우드 컴퓨팅 등 첨단 기술의 돌파가 글로벌 협력의 방식을 재편하고 있다. 중국은 이미 전 세계 서비스 무역 성장의 중요한 동력이 되었다.”고 자부했다. 가성비를 무기로 하는 일반 제조업과 달리 서비스업은 고객의 만족을 담보해야 한다. 문화와 기술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발전을 꾀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런
중국의 5G 가입자가 11억 명에 육박하며 전국적인 네트워크 인프라 확장이 계속되고 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1~5월 통신업계가 안정적인 운영을 이어갔으며 5G와 기가급 광통신망 등 신형 인프라 구축이 지속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기간 통신업계 누적 수익은 7488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고 통신 서비스 총량은 8.6% 늘었다. 5월 말 기준 주요 통신 3사의 고정 인터넷 광대역 가입자는 총 6억 8200만 가구에 달했다. 이 가운데 1000Mbps(1Gbps) 이상 고속 인터넷을 사용하는 가구는 2억 2300만 가구로 전체의 32.7%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말보다 1.8%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5G 모바일 가입자는 10억 9800만 명으로 전체 모바일 가입자의 60% 이상을 차지했다. 이와 함께 5G 기지국도 꾸준히 늘어 전국에 설치된 5G 기지국 수는 448만 6000개로 전체 이동통신 기지국의 35.3%에 해당했다. 모바일 인터넷 사용량도 증가세를 이어갔다. 1월부터 5월까지 누적 모바일 데이터 사용량은 1537억GB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6.2% 증가했다.
‘8.5%’ 중국의 올 1~5월 중국의 전자상거래 소매액 전년동기 대비 증가폭이다. 중국 당국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진 소비진작책이 효과를 내고 있다는 평가다. 중국 당국은 소비진작을 위해 ‘이구환신’ (낡은 제품을 신 제품으로 교환하도록 지원하는 정책)등의 정책을 펼쳐왔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이 같은 내용의 전자상거래 현황을 공개했다. 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1~5월 온라인 소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8.5% 증가했다. 품질 높은 상품, 네트워크 서비스 소비, 새로운 모델과 업태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떠올랐으며, 온·오프라인 융합이 심화되었다. 중점 모니터링 플랫폼에서 디지털 제품, 15종의 중고 교체 가전 및 디지털 제품, 네트워크 서비스 소비, 즉시 소매 매출이 각각 10.4%, 14%, 13.3%, 12% 증가했다. 중국 당국은 “올 1~5월 동안 중국 전자상거래는 혁신 능력이 강하고, 업태·모델이 새롭고, 시장 규모가 크며, 국제 협력이 넓다는 장점을 발휘하여 내수 활력을 끌어냈고, 내외무역 통합을 가속화했다”고 전했다. 중국은 기존 오프라인 경제가 빠르게 온라인 경제로 흡수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오프라인 경
‘3억 1,400만 명’ 지난 5월 중국 노동절 연휴기간 중국 국내 여행객 수다. 전년동기 대비 6%이상 늘어난 수치다. 관광 소비 총액 역시 8% 크게 늘었다. 중국의 5월 소비가 노동절 연휴 소비 증가에 따라 크게 늘었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이 같은 내용의 중국 5월 소비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노동절 연휴 기간 동안 국내 여행객 수는 3억 1,400만 명으로 전년 대비 6.4% 증가했다. 이에 같은 기간 관광 소비 총액은 1,802억 6,900만 위안(약 34조 5,882억 원)으로 8% 증가했다. 중국 상무부가 중점적으로 모니터링한 전국 50개 보행거리 및 상권의 유동 인구는 전년 대비 6.4% 증가했고, 관련 플랫폼이 모니터링한 36개 대중도시 쇼핑센터의 유동 인구는 6.5% 증가했다. 특히 아동절까지 겹친 단오절 연휴에는 민속 여행과 가족 동반 여행이 큰 인기를 끌었다. 중국 국내 여행객 수는 1억 1,900만 명으로 전년 대비 5.7% 증가했다. 관광 소비 총액은 427억 3,000만 위안(약 8조 1,986억 원)으로 5.9% 늘었다. 단오절 기간 전국 영화 박스오피스는 약 4억 6,000만 위안(약 88
중국의 5월 수출이 다시 전년동기보다 3% 가까운 성장세를 구현했다. 글로벌 시장의 어려움 속에서도 중국 수출 물량이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국가 통계국은 최근 베이징 국무원 신문판공실에서 이 같은 내용의 5월 경제 현황 브리핑을 했다. 브리핑 자료에 따르면 5월 중국의 상품 수출입 총액은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했고, 이 중 수출은 6.3% 증가했다. 브리핑에서 국가통계국 대변인이자 국민경제종합통계사 사장인 푸링후이는 “외부 환경이 복잡하고 엄중한 상황 속에서도, 중국 경제의 회복력과 잠재력은 지속적으로 드러났다”라며 “이는 경제의 안정적 운용뿐 아니라 외국무역의 지속적인 성장에서도 확인해준 것”이라고 평했다. 다만 중국의 물가는 여전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자료에 따르면 5월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핵심 CPI는 전년 대비 0.6% 상승해 4월보다 0.1%포인트 상승폭이 확대되었으며, 이는 내수 확대가 가격을 점차 견인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소비재 교체 확대 정책이 강화되면서 관련 산업소비재 가격도 반등했다. 5월 에너지를 제외한 산업소비재 가격은 전년 대비 0.6% 상승해 4월보다 0.2%포인트